|
최근 1400원 중반대의 고환율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과 그에 따른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 조절 우려로 인해 글로벌 달러 강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또 탄핵으로 인한 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못하면서 원화 저평가가 지속되고 있다.
이 자료를 작성한 이택근 연구위원은 “내수 침체로 미국보다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2023년 이후 2025년까지 3년 연속 낮은 수준을 기록할 것이 확실시되면서 환율의 핵심 요인인 양국 간 펀더멘털(기초체력) 격차가 원화 약세를 주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향후 환율이 큰 폭으로 상승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나 최근 미·중 무역갈등 및 글로벌 관세전쟁, 미국 디스인플레이션 둔화와 금리 인하 지연 등으로 인해 환율의 변동성이 확대될 우려가 있다”며 “또한 최근 몇 년간 균형환율이 지속해서 상승하고 있어, 1400원대의 환율이 장기간 지속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최근 원화 약세의 주된 원인이 한·미 금리 역전이 아니라 ‘한·미 경제성장률 역전’ 때문이라고 봤다. 특히 국내 금리 인하를 통해 펀더멘털을 강화하고, 경제성장률을 높여 환율을 안정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를 위해 추가경정예산 편성보다, 상반기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가 효과적이란 진단이다.
그는 “이러한 재정정책의 경기부양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금리 인하를 통한 시너지 효과가 필요하다”며 “금리 인하를 통해 경기 방향성이 하강에서 상승으로 전환될 경우 성장률이 높아지고, 경제 펀더멘털에 대한 시장의 평가도 상승하게 돼 외환시장도 점차 안정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 △관세전쟁 등으로 환율 변동성 확대 시 적극적인 외환시장 안정화 대책, △환율 급변동에 따른 물가 상승과 가계 경제 대비책 마련, △수출입 기업의 환리스크 관리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