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저출산 고령화로 돈을 낼 청년세대는 줄어들고 돈을 받을 노년층이 늘어나니 지금보다 돈을 더 내야 국민연금이 파탄 나지 않는다. 그러니 ‘내는 돈(보험료율)’을 늘리겠다는 거다. 복잡한 게 없다”며 “인구구조 변화는 누구의 잘못도 아니고 우리가 적응해야 할 현실이니 반대하기 어렵다. 단, 고통을 ‘공평하게’ 분담하기만 한다면”이라고 덧붙였다.
한 전 대표는 “그런데 이번에 통과된 안은 ‘내는 돈’뿐 아니라 ‘받는 돈’(소득대체율)도 올렸다. 심지어 ‘내는 돈’은 8년간 천천히, ‘받는 돈’은 즉시 올렸다”며 “돈이 부족해서 개정하는 거라는 원래 목적을 생각해보면 더 받게 하는 것이 이상하지 않는가. 만약 ‘받는 돈’을 그대로 뒀다면 ‘내는 돈’을 덜 올릴 수도 있는데 말이다”라고 지적했다.
한 전 대표는 “이 개정안대로면 올라가기 전 돈 내면 (내는 돈은 서서히 올리니 올라간 돈으로 내는 것이 아니다) 바로 연금을 더 받는 86세대는 꿀을 빨고, 올라간 돈을 수십 년 동안 내야 연금을 받는 청년세대는 독박을 쓰는 거다”라고 주장했다.
한 전 대표는 “그런 분들은 청년세대를 향해 청년세대가 이해 못 할, 자기들만 아는 대단한 깊은 뜻이 있는 것처럼 가르치려 들지만 단언컨대 그런 깊은 뜻 없다”고 했다.
한 전 대표는 “구조개혁 논의도 지금의 혼미한 정치상황에서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떨어진다”며 “이번 국회통과 개정안에서 민주당은 민노총과 86세대를 위해 챙길 것을 다 챙기고 나머지는 연금특위로 넘겼다. 챙길 것 다 챙긴 민주당이 추가적인 구조개혁에 제대로 임할 턱이 없다”고 주장했다.
한 전 대표는 글을 맺으면서도 “청년세대에 독박 씌우는 국민연금법 개정안을 이대로 확정 지어서는 안 된다”며 “거부권 행사 후 다시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한 전 대표뿐만 아니라 유승민 전 의원과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등 범보수권 ‘잠룡’들이 잇달아 반대 입장을 밝혔다.
반면, 홍준표 대구시장은 전날 SNS에 “모처럼 여야 합의로 연금개혁의 첫발을 내디뎠는데, 청년들이 반대한다고 덩달아 반대하면서 거부권 행사를 촉구하는 사람들을 보면 이들이 뭘 알고 그런 말을 하는지 안타깝다”며 “모수 개혁도 오랜 진통 끝에 나온 것이다. 그건 받아들이고 다음 단계로 구조개혁을 촉구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 아닐까”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날 오후 현재 이 같은 글은 홍 시장의 SNS에서 내려간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