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민관 합동 ‘양자전략위원회’를 만들고, 장기적인 양자 기술발전 청사진이 될 5개년 종합계획도 올해 하반기에 내놓을 계획이다. 반도체와 2차 전지 등 기존 주력산업의 ‘초격차’를 위해서도 관련 투자와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한다.
|
정부는 지난해 2조 7000억원이었던 AI와 바이오, 양자 분야 투자를 올해 3조 4000억원으로 약 26% 늘린다. 투자 규모를 늘리고 기존 연구개발(R&D)도 민간이 주도하는 혁신·도전형으로 체질을 개선한다는 구상이다. 신산업 등 중점분야에는 총 75조 4000억원의 정책금융을 집중 공급하고, 관련 부처는 물론 각종 위원회, 민간(산·학·연) 협력도 지원하기로 했다.
바이오 혁신을 위해서는 올해 상반기 ‘바이오 헬스 클러스터 전략’을 수립한다는 것이 정부의 목표다. 클러스터 안에는 각종 연구장비와 시설, 사무 공간에 컨설팅까지 유뮤형 인프라를 두고, 클러스터 간 협력이나 자원 공유도 가능하게끔 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와 같은 클러스터를 통해 오는 2028년까지 바이오 스타트업 60곳을 키우겠다는 목표를 정했다.
반도체나 2차 전지, 디스플레이 등 기존의 주력 산업 영역도 강화한다. 정부는 반도체 특별법 후속 조치로 전력과 용수, 도로 등 인프라 조성을 진행하고, 국비 47억 1000만원을 들여 ‘반도체 아카데미’를 지원하는 등 인력 양성에도 나서기로 했다. 2차 전지를 위해서는 각정 정책금융과 세제 지원은 물론, 차세대 배터리 개발과 순환 이용 생태계를 조성하기로 했다. 디스플레이도 소·부·장(소재·부품·장비)을 중심으로 기술 개발과 소부장 기술 자립화를 지원한다.
한편 정부는 미래형 모빌리티, 우주 탐사, 차세대 원자력 발전 등 미래 유망산업을 위한 기술, 인프라 구축도 이어간다. 이외에도 K-관광, K-콘텐츠 등 유망 분야를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도모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