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임유경 기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지난 17일부터 20일까지 미국 워싱턴 D.C 세계은행 본부에서 진행된 ‘2025 Wolrd Bank Global Digital Summit’에 참석해 인공지능(AI) 시대의 글로벌 디지털 격차해소를 위한 국제협력 기반을 다졌다고 21일 밝혔다.
 | 황종성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장이 세계은행 글로벌 디지털 회담에 참여해 포용적 인공지능(AI) 국제협력 업무을 제안하고 있다.(사진=NIA) |
|
세계은행 아제이 방가 총재, 김상부 디지털 전환 부총재를 비롯한 각국의 정부, 공공, 민간 분야의 고위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한 이번 서밋에서 NIA는 한국의 디지털 전환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개발도상국 및 저개발국의 인공지능 발전을 지원하는 체계적 협력 업무를 제안했다.
황종성 NIA원장은 19일 진행된 ‘AI Connect: Empowering People’ 분과 세미나에서 △전자정부 도입 △데이터 기반 정부혁신 △인공지능 대전환 등 한국의 디지털 발전 경험을 공유하고, 인공지능 발전에 따른 글로벌 디지털 격차 확대를 해소하기 위해 국제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나이지리아 및 부탄과 협력하여 추진한 AI 기반 정보접근센터 협력 사례를 소개하는 등 협력국의 소버린 AI(자립형 AI)을 위한 한국의 포용적 인공지능 국제협력 업무를 제시했다.
또 부대행사인 혁신 기술 전시회에서 NIA는 인공지능 기본법 제정, AI 허브 및 AI 학습 데이터 활용 사례, 개도국 정보접근센터, 한국 AI 기업 우수 사례를 선보여 주목받았다. NIA 부스에는 이집트·도미니카·몽골·토고 등 여러 국가의 관계자와 세계은행 임직원들이 진흥원 전시관에 다수 방문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NIA는 “앞으로도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해 개발도상국·저개발국의 AI 격차 해소를 위한 글로벌 협력 모델을 선도하고 이러한 경험과 기술을 국제사회에 지속해서 공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