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동일 조사와 비교하면 ‘아르바이트 예정’이란 답변은 11.0%포인트 늘었다. 반면 ‘정규직 구직 활동에 전념’할 계획이라거나 ‘이미 정규직 취업에 성공해 출근 중이거나 출근 예정’이란 응답 비중은 각각 2.7%포인트, 1.7%포인트 줄었다.
졸업 이후 아르바이트를 계획하는 이유는 금전적 요인이 가장 컸다. ‘당장의 생활비, 용돈(45.8%, 복수응답)’ 외에도 ‘취업 준비 비용(37.3%)’을 마련하기 위함이란 응답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취업난으로 인해(20.3%) △진로를 탐색하기 위해(15.3%) △별다른 계획을 세우지 못해서(15.3%)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
졸업 후 아르바이트 근무 기간에 대해서는 ‘3~6개월가량’이 35.6%로 가장 많았지만, 1년 이상 알바를 하겠다는 이들도 11.9%에 달했다.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며 향후 ‘정규직 취업’에 도전할 계획을 묻는 질문에 20.3%는 당분간 정규직 취업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2월 졸업 예정이었으나 졸업을 유예했다고 응답한 45명은 대다수가 ‘취업·진로’에 대한 고민을 이유로 들었다. ‘졸업 요건을 갖추지 못해서(33.3%, 복수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졸업 후 진로에 대해 결정하지 못해서’와 ‘취업 전 공백기를 줄이기 위해서’라는 답변이 각각 26.7%, 17.8%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