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2.8%(48가구)는 1200만원 넘게 버는 가구였으며, 31.2%(35가구)는 1500만원 이상이었다. 특히 월 1800만원 이상 버는 가구 비중이 23.2%(26가구)로, 900만~1200만원인 가구(30.4%, 34가구) 다음으로 높았다. 반면 월 600만원 미만을 버는 가구는 전체의 8.9%(10가구)에 그쳤다. 이번 설문은 고용노동부가 지난해 11월 이용가정을 대상으로 시행한 결과다.
이용가정의 거주지역을 놓고 봐도 44.6%가 강남 3구였다. 지난해 8월 이용가정 선정 당시 비중(33.8%)보다 10%포인트 이상 오른 비중이다.
시범사업 이용요금이 대폭 인상돼 ‘돌봄비용 부담 완화’라는 정부 정책 취지도 퇴색됐다. 다음달부터 시간당 이용요금은 현행 1만 3940원에서 1만 6800원으로 2860원 인상된다. 주 40시간 이용하면 월 이용요금이 242만 5560원에서 292만 3200원으로 49만 7640원 오른다.
정부는 이용가정에 ‘서울형 가사서비스 바우처’를 지급해 연간 70만원을 지원한다고 밝혔지만, 바우처는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에만 지급돼 필리핀 가사관리사 이용가정 상당수는 지원받지 못할 전망이다. 올해 중위소득 180%는 3인 가구 904만 6000원, 4인 가구 1097만 6000원이다. 필리핀 가사관리사 이용 가구의 절반(48.2%)은 4인 가구(아동 수 2명)로 추정된다.
민주노총은 이날 논평을 내어 “저출생, 초고령화 사회에서 돌봄은 지속 가능한 모델, 국가책임을 강화해야 한다. 시범사업의 철저한 평가를 계기로 돌봄 사회의 국가백년지대계를 준비할 때”라며 외국인 가사관리사 정책의 전면 재검토를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