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간담회는 지난달 제8차 인구비상대책회의를 통해 초고령화 대응 관련 첫 대책을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조치로, 3배 분야별 정책 방향 중 기술·산업에 대한 현장의견을 수렴하고 구체적인 정책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산업계와 학계, 연구계 등에서 전문가 10명이 참석했다.
이어 “글로벌 고령인구도 증가 추세에 있고 액티브 시니어로 불리는 최근 고령인구 특성을 감안할 때 고령화를 우리 경제가 놓쳐서는 안될 새로운 성장의 기회로 활용하도록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며 “에이지테크 기반의 실버경제가 구축되면 만성적인 돌봄인력 부족문제를 해소하면서도 바이오, 헬스케어 기술을 통해 고령자의 건강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고위에 따르면 전 세계의 실버경제 규모는 2022년 1조 9000억 달러에서 올해 3조 2000만 달러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정부는 에이지테크 관련 연구개발(R&D)을 확대하고 첨단재생의료 등과 불필요한 규제로 상용화가 어려운 기술과 관련해서도 개선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돌봄현장에 첨단기술 적용 제품이 확산될 수 있도록 예비급여 시범사업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이에 주 부위원장은 “초고령사회에 현명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분명하다”며 “전문가와 민간기업의 긴밀한 협조와 상호 보완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가 글로벌 실버경제 시장을 주도하면서도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자발적인 연구와 기술개발, 상용화 등에 적극 나서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