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 농업기술센터는 지난 2023년 1152m²규모 3개 동의 아열대작물 과학영농시설을 설치했다. 이 시설에서는 지난해 3월부터 차례대로 만감류, 바나나, 애플망고를 심어 현재 1동에는 만감류 29주, 2동에는 바나나 27주, 3동에는 애플망고 75주를 재배 중이다.
이 가운데 바나나는 지난해 3~8월 영양생장 후 같은 해 9월부터 지난달까지 생식생장을 거쳐 바나나를 심은 지 1년 만에 13주에서 250㎏가량을 처음 지난달 21일 처음 수확됐다.
|
용인시는 이번 바나나 수확이 기후 대비 뿐 아니라 체험과 관광용 등으로 시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
용인시농업기술센터 정병성 기술지원과장은 SBS에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아열대작물 실증재배를 추진하고 있다”며 “농가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바나나 재배 매뉴얼을 확립하고 또 다른 신소득 작물 발굴도 계속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나라 기후가 점점 아열대 기후로 변하고 있으며 25년 후에는 남한 절반이 아열대 기후로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제주도는 환경에 적합한 아열대 작물을 찾기 위해 그간 58개 아열대 작물을 도입해 유망한 17개를 선별했다. 망고, 올리브, 패션프루트, 파파야, 용과, 페이조아, 아보카도가 선택을 받았다. 여주와 강황, 공심채, 얌빈 등 채소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