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스트리트저널(WSJ)은 15일(현지시간) 이스라엘이 이란 서부 상공에서 단기간에 제공권을 확보한 것과 관련해 이같이 평가했다. 이스라엘이 미국의 전폭적인 군사·정보 지원을 받고 있는 만큼, 사실상 미국과 러시아 간 군사력이 본질적으로 얼마나 큰 차이를 보이는지 극명하게 드러났다는 진단이다.
|
앞서 이스라엘은 전쟁 개시 48시간 만에 테헤란을 포함한 이란 서부 상공에서 제공권을 확보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스라엘은 F-35 스텔스기를 앞세워 이란 방공망을 기습 제압하고, 특수부대가 드론으로 방공자산을 파괴하며, 정보기관이 이란 군 수뇌부를 제거하는 등 ‘전방위 복합작전’으로 단기간에 제공권을 장악했다.
이스라엘군 참모총장 에얄 자미르 대장은 “이스라엘 공군(IAF) 조종사들이 수백킬로미터 떨어진 이란 상공에서 수백개 목표를 정밀 타격했다”며 “이제는 F-35 스텔스기뿐 아니라 F-15, F-16 등 구형 전투기와 합동정밀직격탄(JDAM), 정밀유도폭탄(SPICE) 등 단거리 유도폭탄까지 동원해 대량 타격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우크라이나의 분산·은폐된 방공망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스라엘과 마찬가지로 미국을 비롯한 서방의 정보 지원이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결국 이스라엘과 이란의 충돌은 미국식 현대 공군력과 러시아식 전통 교리의 격차가 얼마나 큰지, 아울러 정보·정밀타격·통합작전 역량이 전쟁의 판도를 어떻게 바꾸는지 극명히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미첼항공우주연구소 데이비드 데프툴라 미 공군 예비역 중장은 “공중우세 확보에 따라 전쟁의 양상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승패마저 가른다”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제공권 부재로 소모전이 됐고, 이스라엘-이란 전쟁은 제공권 확보로 전면 타격이 가능해졌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