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최남호 산업부 2차관 주재로 열린 ‘제2차 해상풍력 활성화 업계 간담회’를 통해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입찰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추진방안은 해상풍력 시장 초기부터 에너지 안보, 석탄발전 전환 등을 고려한 체계적인 보급을 위해 공공주도 산업 생태계 구축과 정부 연구개발(R&D) 성과물의 사업화를 위한 실증을 지원하고, 에너지·자원 개발에 대한 공공의 대내외 신인도를 바탕으로 해상풍력의 지속가능한 보급 확대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요 내용으로는 공공의 기준은 공공기관과 지방공기업을 포함하고 공공 과반 지분을 참여 기본 요건으로 하되, 공공 단독 출자와 정부 R&D 실증 여부 등에 따라 지분 기준을 차등 적용한다. 평가 방식은 작년 도입된 2단계 평가체계를 유지하고 자원안보특별법에 따른 안보 평가지표를 신설한다.
공고 용량에 대해선 해상풍력 전체 입찰 수요와 공공주도형 입찰 수요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공고시 각각 확정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공공개발사, 터빈·케이블 등 제조기업, 터빈 설치선, 케이블 포설선 등 해상풍력 선박 기업 등 의견을 반영해 관련 규정 개정을 착수하기로 했다. 다음달 종합설명회를 통해 추가적인 의견수렴을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