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이데일리 황영민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더불어민주당의 ‘전국민 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에 재차 반대의견을 냈다. 앞서도 김 지사는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에는 찬성하지만, 지급방식에 대해서는 보편 지급이 아닌 ‘두텁고 촘촘한’ 지급을 주장한 바 있다.
 | 14일 광주경영자총협회의 초청 특강에 나선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하고 있다.(사진=경기도) |
|
김동연 지사는 14일 광주경영자총협회 특강에서 “어제 다행스럽게도 민주당에서 추경안을 발표했다. 35조 추경 규모를 이야기했고 그중에 민생회복이 24조, 그리고 경제활성화에 11조 투자를 주장했더라”면서 “조금 늦은 감은 있지만, 제가 얘기했던 것과 비슷한 얘기를 해서 정말 기뻤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여전히 전국민에게 25만원씩 민생회복지원금을 주자고 되어 있다고 들었다. 13조더라. 민생회복지원금을 주는 것은 찬성이지만 전 국민에게 똑같이 25만원씩 나눠주는 것에 대해서는 (한계소비성향, 정책일관성 등에) 두 가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지사는 소득분위 25% 이하를 대상으로 1인당 100만원의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을 주장했다.
이같은 주장에 대해 김 지사는 “부자들이 소득이 늘어난다고 세 끼 먹을 밥을 네 끼를 먹겠는가? 양복을 하루에 한 개씩 사겠는가? 그렇지 않다. 부자들은 소득 늘어난다고, 그 돈을 소비하지는 않는다”면서 “취약계층일수록 한계소비성향(소득이 올라가면 돈을 쓰는 비율)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추경에 민생회복지원금을 양보하겠다고 했다가 철회한 것에 대한 ‘정책의 일관성’ 문제도 제기했다.
김 지사는 “추경을 위해서는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을 양보 내지 철회할 수도 있다고 했는데 결국 끼워 넣었다”며 “민주당 지지율이 국민의힘과 붙었다고 하는 것은, 민주당이 그만큼 신뢰를 주고 있지 못하다는 것인데, 일관되게 우리 입장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