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는 13일 ‘제6차 대한상의 ESG 아젠다그룹 회의’를 열고 올해 주목해야 할 국내외 ESG 이슈와 정책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대한상의 ESG 아젠다그룹’은 ESG에 대한 국내 경제계 대응역량 강화, 대정부 정책건의, 민관 소통을 목적으로 지난 2022년 설립된 씽크탱크다. 현재 국내 주요그룹과 은행 등 20여개사가 가입해 있다.
|
‘2025년 ESG전망과 대응과제’를 주제로 발표에 나선 EY한영 박 전무는 “전세계 기업에 큰 영향을 주기 시작했던 ESG가 최근 미국 트럼프 대통령 취임으로 큰 변곡점을 맞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EU는 일부 변화는 있지만 기존 친환경 정책과 규제를 유지하는 입장이며 글로벌기업의 ESG 경영 역시 흔들림 없이 지속될 것”이라 진단했다.
|
트럼프 2기 출범에도 탄소중립 실천 및 재생에너지 전환, 공급망실사 등 지속가능성에 대한 요구는 변함없다는 의견이다. 이에 따라 정부가 기업의 부담을 덜고 인센티브를 줄 수 있는 방향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이어진 토론에서 참석자들은 올해 국제정세 불안정과 점차 불거지는 자국중심 통상정책, 저성장 등 국내외 난관을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현하기 위해 균형잡힌 공시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봤다. 이에 따른 다각적인 지원과 국가 차원에서 통합 데이터 플랫폼을 조기에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올해는 국내외 ESG 공시기준 발표, EU 탄소국경조정제도, DPP 대응 플랫폼 구축 등 ESG경영을 준비하는 우리기업에게 전환점이 되는 원년(元年)이 될 것”이라며“상의는 우리 기업과 공급망 내 중소기업의 ESG경영을 지원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정부와 힘을 모으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