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이란 의회가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를 추진하는 법안을 준비 중이라고 이란 외무부가 16일(현지시간) 밝혔다. 최근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이란 핵 의무 위반을 지적한 결의안 통과와 이스라엘의 공격 등 외교·군사적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나온 발언이다.
 | 9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 있는 IAEA 본부 밖에서 이란 국기가 펄럭이고 있다.(사진=로이터) |
|
에스마일 바가에이 외무부 대변인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최근 상황을 고려할 때 적절한 결정을 내릴 것”이라며 “정부는 의회의 법안을 집행해야 하며 현재는 초안이 준비 중인 단계이고 이후 의회와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란은 1970년 NPT를 비준했다. 이 조약은 회원국들에게 평화적인 목적의 원자력 발전을 허용하는 대신, 핵무기 개발을 포기하고 IAEA의 감시에 협조할 의무를 부여한다.
하지만 IAEA 이사회는 지난 12일 이란이 NPT 핵 사찰과 검증 의무를 이행하지 않고 있다는 결의안을 채택한데 이어 이스라엘은 이란이 핵폭탄 개발 직전에 있다고 주장하며 군사적 행동에 나섰다.
이란은 핵 개발 의도를 지속적으로 부인하고 있다. 마수드 페제쉬키안 이란 대통령은 이날 “핵무기는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의 종교 칙령에 위배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란 국영 언론은 아직 NPT 탈퇴에 대한 공식적인 결정은 내려지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이란 한 국회의원도 “해당 법안은 법적 절차의 초기 단계”라고 설명했다.
바가에이 대변인은 “이스라엘의 공격과 같은 상황은 당연히 국가의 전략적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면서 이스라엘의 공격이 IAEA 결의안에 따른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스라엘은 NPT에 가입하지 않았지만, 중동 지역에서 유일하게 핵무기를 보유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에 대해 바가에이 대변인은 “시온주의 정권(이스라엘)은 이 지역 유일의 대량살상무기 보유국”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