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생성형 AI 딥시크는 지난 15일 오후 6시부터 국내 앱마켓에서 서비스를 잠정 중단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과도한 정보 수집과 유출 등 추가적인 우려가 확산하지 않도록 잠정 중단 후 개선·보완할 것을 권고하면서다. 이번 조치로 국내 구글 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딥시크 앱 신규 다운로드는 제한된다. 다만 이미 앱을 설치했거나 PC 웹브라우저 접속을 통해선 계속 이용할 수 있다.
딥시크가 개발해 시장에 오픈소스로 공개한 ‘R1’ 모델을 활용한 개별 서비스 구축도 이번 조치와 무관하게 여전히 가능하다. 최 대표는 “(이번 정부 조치는) 앱 자체를 차단한 것으로, 이용자가 전송한 모든 정보가 중국에 있는 딥시크 앱 서버로 간다”며 “중국의 AI 관련 법이 자국 기업 편의를 봐주는 요소가 많다 보니 한국과 미국 등 개별 국가 법과 상충이 있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딥시크는 이제 시작으로, 수개월 새 딥시크보다 훨씬 성능이 좋고 가벼운 AI 모델이 우후죽순 생겨날 것”이라며 “딥시크 앱 서비스 차단이 업계의 모델 연구·개발까지 막는 건 아니기 때문에 충분히 AI 기술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
마음AI는 올 들어 미국 반도체 기업 퀄컴의 ‘사물인터넷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IoT Accelerator Program)’ 공식 멤버로 합류했다. 지난해부터 퀄컴과 협력해 자사 소형 대규모 언어 모델(sLLM) 기술을 퀄컴의 IoT 플랫폼에 최적화하는 데에 성공하면서다. 마음AI는 현재 퀄컴의 유일한 LLM 벤더사로서, 향후 전 세계 시장에 온디바이스 AI 기술 생태계와 사업적 기회를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최 대표는 “퀄컴의 첨단 기술 리소스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게 됐고, 이를 통해 개발 속도를 높이고 설계 복잡성을 줄이며 제품 상용화를 가속화할 수 있다”면서 “퀄컴은 QCS6490 프로세서와 RB3 2세대 플랫폼, IQ9, IQ8 시리즈 등 IoT 용 최첨단 프로세서와 칩셋들을 통해 언어 모델(LLM)과 비전 모델(VLM) 기반 AI 추론 기술을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마음AI는 거대언어 모델 ‘말(MAAL)’ 외에도, 음성대화 모델 ‘수다(SUDA)’, 엔드투엔드 자율주행 모델 ‘워브(WoRV)’ 등 3가지 주요 파운데이션 모델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수다는 △음성 인식(STT) △언어 모델(LLM) △음성 합성(TTS)을 통합해 인터넷 연결 없이도 뛰어난 성능을 제공하는 AI 모듈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최 대표는 “마음AI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목표는 ‘피지컬(Physical) AI’의 실현”이라고 제시했다. 지난달 미국 CES 2025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CEO도 강조한 피지컬 AI는 각종 기기에 AI 기능을 장착한 ‘온디바이스(On-Device) AI’보다 진화한 개념이다.
피지컬 AI가 구현되면 로봇이나 자율주행차 등 소프트웨어 기능을 갖춘 물리적 실체가 스스로 외부 환경을 이해하고 데이터를 생성·축적해 고도화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최 대표는 “LLM이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기능을 스스로 호출해 휴머노이드 로봇이 자유자재로 기능을 할 수 있는 피지컬 AI는 결국 온디바이스 기술로 구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