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이소 관계자는 “작년 12월 앱 사용자 수는 전년 같은 달보다 81% 증가했다”며 “이는 2023년 말부터 진행된 다이소의 뷰티 카테고리 확장과 경기 불황형 소비 트렌드의 영향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다이소에 입점한 화장품 브랜드 다수는 품절 대란을 이어가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의 스킨케어 브랜드 ‘미모 바이 마몽드’는 다이소 입점 4개월 만에 누적 판매 100만개를 돌파했다. LG생활건강이 다이소 전용 화장품으로 선보인 씨엔피 바이 오디-티디의 ‘스팟 카밍 젤’, 종근당건강의 ‘클리덤 저분자 콜라겐 팔자주름 앰플’ 등도 SNS 등에서 입소문을 타고 재고가 동났다.
|
앞서 CU는 화장품 브랜드 엔젤루카와 손잡고 세럼, 물광팩, 수분크림 등 소용량 기초화장품 3종을 출시하며 가성비 화장품 시장에 뛰어들었다. 해당 상품들은 현재까지 누적 3만개 넘게 팔렸으며 소속 카테고리 판매 1~3위를 나란히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유통업계가 저가 화장품 라인업을 강화하는 이유는 화장품의 구매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시간 여유가 없거나 여행을 갔을 때 간단한 화장품을 구매하는 수요로 립밤, 클렌징 티슈 등의 상품 판매가 이뤄졌다면 최근에는 피부 개선이나 관리를 목적으로 한 상품 구매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실제로 CU의 연도별 화장품의 전년 대비 매출신장률은 2022년 24.0%, 2023년 28.3%, 2024년 16.5%로 매년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경기 침체로 인해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구매 가능한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며 “유통 플랫폼들은 저가 화장품을 미끼로 고객을 유인할 수 있기 때문에 올해도 뷰티 영역 강화에 나설 것으로 보여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