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만원대까지 밀리는 등 약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연휴를 앞두고 외국인 수급이 돌아오는 등 긍정적인 시그널도 포착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증권가에서는 에코프로뿐만 아니라 자회사인 에코프로비엠(247540)과 에코프로에이치엔(383310)이 여전히 고평가되어 있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
자회사인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에이치엔 역시 비슷한 상황이다. 에코프로비엠은 9월 들어 22.03% 하락하며 32만원대에서 25만원선으로 하락했으며 에코프로에이치엔은 23.36% 하락해 7만원대로 밀려났다. 고점대비 에코프로비엠은 주가가 56.68% 빠졌으며 에코프로에이치엔은 44.07% 내렸다.
에코프로 그룹주가 폭락하며 사실상 반토막이 난데다 외국인 수급이 일부 회복하며 저점에 도달한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으나 증권가는 여전히 불안한 시선을 견지하고 있다. 테슬라의 중국 판매량이 저조하다는 소식에 2차전지 테마주 전체가 부진한데다 양극재 업황 부진 및 매크로 환경 악화로 추가 조정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기 때문이다. 이안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양극재 기업을 중심으로 3분기 저조한 실적 및 3분기 수주 공백기로 인해 10월까지는 조정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증권은 에코프로비엠의 3분기 감익 폭이 예상보다 커질 것으로 내다보며 투자의견 ‘홀드’를 유지하면서 목표가를 15% 내린 28만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장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에코프로비엠의 3분기 매출은 2조원, 영업이익 718억원으로 시장 매출치 대비 크게 하회할 것”이라며 ”현 주가는 기존 2분기 실적 리뷰 시점 대비 33% 조정받은 상황이나 단기간 실적 모멘텀을 기대하기 어렵고 실적 하향에 따라 밸류에이션 역시 편하지 않은 구간”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