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주→채권 ETF' 갈아 탄 서학개미들…유의할 점은

치솟은 금리에 기술주 부담…채권 ETF 투자심리 '활짝'
달러 강세 전환 흐름…투자자 신흥국 채권 ETF '러브콜'
최종 금리 불확실성…올해 첫 FOMC는 25bp↑ 전망
美경제 인플레 여전히 취약…하반기도 금리 경계 유의
  • 등록 2023-01-23 오후 10:30:00

    수정 2023-01-23 오후 10:30:00

[이데일리 이은정 기자] 서학개미(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국내 개인 투자자)들이 올해 들어 채권형 상장지수펀드(ETF)를 쓸어 담았다. 지난해 치솟은 금리에 부담이 커진 기술주들은 존재감이 옅어졌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기조에 뚜렷한 변화가 감지되면서 투자심리가 핀 것으로 풀이된다. 투자자들이 신흥국 채권 ETF를 가장 많이 사들인 점도 주목된다.

(사진=AFP)
23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세이브로)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지난 20일까지 국내 투자자들은 ‘반에크 JP모건 신흥국 현지 통화 채권 ETF’(EMLC)를 5019만달러 순매수했다. ‘아이셰어즈 아이박스 USD 하이일드 회사채 ETF’(HYG·4619만달러), ‘아이셰어즈 JP모건 USD 신흥국 채권 ETF’(EMB·2827만달러), ‘아이셰어즈 만기 7-10년 국채 ETF’(IEF·1377만달러) 등도 순매수 20위권에 모두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10~11월만 해도 채권형 ETF는 미 국채 20년물을 3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만기 20년 이상 국채 불3XETF’ 등 두 종목만이 순매수 20위권에 들었지만, 연초 이후 훌쩍 늘었다. 경기 침체 우려 속 금리 인하 가능성이 부각됐다. 금리와 채권 가격은 반대로 움직인다. 금리가 하락하면 채권 가격이 상승하고, 자본 차익을 누릴 수 있다.

신흥국 채권 ETF 순매수세가 눈에 띈다. ETF닷컴에 따르면 제시카 페링거 재무 저술가는 “글로벌 채권 ETF는 대체로 미국 채권 시장 노출도가 높지만, 시장 환경에 따라 신흥국 채권을 통해 포트폴리오 다각화 이점이 있다”며 “현지 통화 채권 수익은 현지 금리와 통화 변동의 영향을 받는다”고 말했다.

채권형 ETF 중 두 번째로 많이 사들인 EMLC는 신흥국 현지 통화 국채를 담고 있다. EMB는 신흥국 국가들이 미국 달러화로 발행한 국채들에 투자한다. 신흥국의 달러 혹은 현지 통화 채권 ETF는 각각 환율 영향을 보고 접근해야 한다는 조언이 따른다.

반에크의 프란 로디로소 채권 ETF 담당자는 “신흥국 통화는 달러 대비 역사적으로 약한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결국 절상될 것”이라며 “이 경우 현지 통화 채권 ETF 수익률이 달러 표시 ETF보다 높아질 수 있다. 달러가 신흥국 통화보다 강세를 보이면 반대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전했다.

연준이 공식적으로 내놓은 최종 금리 예상치는 5.1%다. 연초부터 연준의 긴축을 유발한 인플레이션 지표가 둔화세를 보였다. 불확실성은 남아 있다. ‘월가 황제’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회장은 지난 19일(현지시간) “빨리 사라지지 않을 인플레이션 요인들이 기저에 있다”며 “미국이 가벼운 경기 침체를 겪는다면 기준금리가 6%에 이를 수 있다”고 했다.

올해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는 0.25%포인트의 금리 인상이 점쳐지고 있다.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성향의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20일(현지시간) 이를 선호한다고 언급하며 “2% 물가 상승률 목표로 향하는 상당히 먼 길이 있다”며 “통화정책의 긴축 지속을 지지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하반기에도 금리를 경계해야 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박민영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여전히 인플레이션에 취약한 미국 경제 환경에서 중국 경기 반등, 조기 완화적 금융시장 환경 등이 심화될 수 있다”며 “이는 하반기 인하가 아니라 재인상 가능성을 키우고 금리 급반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전했다.

채권 ETF 투자 확대 속 일부 기술주들은 여전히 서학개미들의 사랑을 독차지했다. 국내 투자자들의 순매수 1위는 테슬라(2억7820만달러)였다. 애플도 3위권에 올랐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돌발 상황
  • 2억 괴물
  • 아빠 최고!
  • 이엘 '파격 시스루 패션'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