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 의장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코로나19 대유행이 이렇게 빠르게 확산될 거라고 예측을 못 해 손실보상과 방역 관련 예산이 소극적으로 반영됐다. 소상공인·자영업자가 사실 한계점에 다다르게 된 상황이라 추경을 요청할 수밖에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당내 정책위 차원에서 기초안이 마련돼 있느냐`는 질문에는 “얼마를 만들어 달라고 하는 가이드라인은 없다”면서 “정부가 (예산안을) 짜갖고 오면 꼭 필요한 소상공인 지원금을 두텁고 넓게 했으면 좋겠다(라는 입장이다)”고 말했다.
`50조원을 요구했던 규모를 대폭 줄여서 적자 국채 발행을 하지 않는 선에서 2월까지 한다`는 일부 보도와 관련해서는 “공식적으로 (추경) 규모와 방향에 대해 협의한 것은 없다”며 “다만 윤호중 원내대표와 정책위에서 `2월 안으로 대상도 넓게 (지원도) 두툼하게 해야한다`는 의견에 정부가 `선지원 후정산`(안)을 받아 들였다”고 말했다. 이어 “55만개(소상공인·소기업)에 대해 500만원을 (선)지원하겠다는 것도 (정부가) 전향적으로 받아들였다”고 설명했다.
한편, 민주당은 소상공인 지원 확대를 거듭 요구하고 있다. 앞서 신현영 원내대변인은 전날 코로나19 제3차 당정협의를 마친 뒤 “이제까지 62만개 대상자에 1조 9000억원 정도 지급이 됐는데, 간접손실까지 보상할 수 있도록 강력하게 요구할 것”이라면서 “기재부에서도 6조3000억원 방역 관련 예산이 잡혀 있는데, 오미크론 등 상황이 악화됐을 때 필요한 금액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추경에 대해 자세한 규모를 다시 보고하는 방식으로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