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 업계는 “근무 개월 수에 따른 차등 지급은 의미 있는 일”이라고 평했습니다. 당근마켓은 설립 7년 차에 불과해 분란 없이 가능한 것 아니냐는 얘기도 있지만요. 그보다는 함께 회사를 혁신하고 성장시킬 인재를 ‘지키는 일’에 관심을 둔 모습이라는 평입니다. 당장 주식을 파는 걸 허용한 것은 자유분방한 MZ세대 직원들의 욕구를 고려한 조치로도 보입니다.
지금까지 IT 업계의 인력 화두는 ‘개발자 영입 경쟁’이 전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초봉 6000만원(크래프톤·직방 등)을 주거나, 경력 합격자 스톡옵션 1억원 지급(토스), 전원에게 스톡옵션 제공(SSG닷컴) 같은 일들이 벌어졌죠.
MZ 세대 직원들의 혁신성을 믿고 사내 문화를 바꾸려는 기업도 있습니다. LG유플러스는 신입 직원들이 MZ세대의 트렌드에 대해 임원들에게 멘토링하며 세대 간 차이를 좁혀나가는 ‘리버스 멘토링(reverse mentoring)’을 운영 중입니다. ‘MBTI 알아보기’, ‘당근마켓으로 물건팔기’, ‘채식식당 가기’ 등을 젊은 직원과 나이 든 임원이 함께 한다고 하죠.
이외에도 어린 연차 직원들에게 신경 쓰는 IT 기업들은 적지 않습니다. 국내 IT 스타트업(초기벤처)의 사관학교가 된 네이버는 오는 7월부터 ‘주3일이상 출근이냐, 원격근무냐’를 직원들이 자율적으로 정하는 새로운 근무제 ‘Connected Work’를 도입합니다. “근무 형태가 아니라 업무 몰입이 중요하다”는 게 41살 알파걸 최수연 대표의 생각이죠. 통신회사에서 인공지능(AI)기반 커뮤니케이션 회사로 업의 본질을 바꿔가는 SK텔레콤은 유영상 CEO가 최초로 유튜브 영상에 출연해 신세대 직원들과 말랑말랑한 소통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나이 든 것도 서러운데 MZ 세대 직원들 눈치까지 봐야 하는 게 서글픈가요? 그런 생각이 아예 없다면 거짓말입니다. 저도 그러하니까요. 인재를 뽑는 것에서 나아가 회사와 함께 개인이 성장할 수 있도록 물을 주고 햇볕을 주는 일, 쉽지는 않죠. 하지만, 성공한다면 혁신 기업에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다는 건 분명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