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안팎에선 “첫 단추부터 잘못 뀄다” 고 지적한다. 대장동 의혹과 같이 관련자들이 많고 추적해야 할 계좌가 많은 대형 비리 사건은 성남도시개발공사와 성남시청, 민간사업자 모두에 대한 전격적인 압수수색과 직원들에 대한 참고인 조사를 진행한 뒤, 이를 근거로 핵심 피의자를 불렀어야 했다는 얘기다. 여기에 계좌추적 등 물증 확보 없이 피의자 진술만으로 수사한다는 건 무리라고 지적한다.
김오수 검찰총장은 겉으로는 ‘성역 없는 수사’를 주문하고 있다. 그러나 수사 진행상황을 보면 납득하기 어렵다. 검찰은 대장동 수사의 한 갈래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자의 변호사비 대납 의혹 수사의 경우 전담수사팀이 아닌 이 지사의 대학 후배가 이끌고 있는 수원지검에 배당하면서 이 후보자에 면죄부를 주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김 총장은 지난 6월 취임사에서 검찰 조직을 향해 “신뢰 받는 검찰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5개월여가 지난 현재, 검찰에 대한 신뢰는 바닥을 기고 있다. 검찰 출신 법조계 원로는 “검찰은 (권력에) 휘둘리는 모습을 보이면 실패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검찰이 지금 당장 무엇을 해야할지 선배 검사의 지적을 곱씹어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