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컨테이너선 발주잔량 최대치…‘공급과잉’ 우려

컨선 발주잔량 670만TEU…선대 대비 27%
해상운임 오름세에 선사 컨선 발주 확대 영향
2010년 공급 늘면서 선사 간 ‘치킨게임’ 벌여
내년 친환경 규제 따른 노후선 해체량이 관건
  • 등록 2022-05-20 오후 3:11:00

    수정 2022-05-20 오후 3:11:00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지난해 이후 글로벌 컨테이너선 발주가 큰 폭으로 늘면서 앞으로 2~3년 안에 컨테이너선 공급과잉 현상이 나타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특정 시기 발주된 선박이 시장에 한꺼번에 쏟아지면 업계에 영향을 줄 것이란 분석이다.

20일 영국 해운·조선 전문지 로이드리스트에 따르면 이달 초 기준 글로벌 컨테이너선 발주잔량은 670만TEU(1TEU는 6m여 길이 컨테이너 1개)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 세계 컨테이너 선대 대비 27%에 달하는 규모다.

(사진=이미지투데이)
글로벌 컨테이너선 발주잔량은 지난 2020년 10월 총 선대 대비 8.2%(193만TEU)까지 떨어진 이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발생한 물류대란 속 치솟은 해상운임 등으로 선사들이 컨테이너선 발주를 크게 늘렸기 때문이다.

영국 조선·해양 시황 분석기관인 클락슨리서치 집계 결과 지난해 1만2000TEU급 이상 컨테이서선 신조 발주량은 1120만CGT(표준선환산톤수)로, 2020년 312만CGT와 비교해 25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선사들의 컨테이너선 신규 발주 흐름은 올해 들어서도 이어지고 있다. 스위스 선사인 MSC는 최근 7900TEU급 6척과 7000TEU급 컨테이너선 14척을 계약했으며, 캐나다 선사인 시스팬은 현재 7600TEU급 8척과 관련한 계약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드리스트는 이에 대해 “프랑스 CMA CGM의 2만3000TEU급 9척, MSC의 8000TEU급 12척의 계약이 마무리되면 발주잔량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며 “지난해부터 7000TEU급 선박도 꾸준히 발주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선 선박 발주가 큰 폭으로 늘어난 만큼 조만간 컨테이너선 시장에 공급과잉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 섞인 주장도 나온다. 2023년엔 230만TEU, 2024년엔 270만TEU의 컨테이너선이 인도될 예정인데, 지난해부터 선박 해체도 거의 일어나지 않고 있다.

앞서 해운업계는 지난 2007년 발주가 급증했던 컨테이너선이 인도된 2010년 이후 공급과잉으로 저가 운임을 내세우는 치킨게임을 벌인 바 있다. 그 결과 해운업계는 10년간의 장기적인 침체를 겪었다.

다만, 탄소 배출 규제에 따른 노후선 해체가 시장 변수로 작용하리란 관측도 나온다. 국제해사기구(IMO)는 내년부터 현재 운항 중인 국제항해선박(현존선)에도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배출 규제를 적용한다.

IMO는 애초 2013년 1월 1일 이후 건조된 선박(신조선)에만 온실가스 배출 규제를 적용해 왔으나 내년부턴 현존선도 선박 제원을 기반으로 계산되는 선박에너지효율지수(EEXI)와 매년 운항 실적에 따라 계산되는 선박 탄소집약도지수(CII) 감축률을 충족해야 한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운항 중인 컨테이너선의 11%가 선령이 20년을 넘어섰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며 “앞으로 컨테이너선 인도량도 증가하겠지만, 탄소 배출 규제로 해체되는 컨테이너선도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꼼짝 마
  • 우승의 짜릿함
  • 돌발 상황
  • 2억 괴물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