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후보자는 모두 발언에서 최근 경찰 제도개선 논의 과정에서 불거진 잡음과 관련, “국민께 심려를 끼쳐 드려 송구스럽다”며 “경찰권 역시 견제와 감시의 대상이 돼야 하고, 중립성과 책임성 또한 결코 훼손돼서는 안 될 가치”라고 밝혔다. 경찰국 신설에 경찰 입장이 반영됐느냐는 오영환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윤 후보자는 “경찰청이 일정 부분 참여해서 충분히 목소리를 전달했다”고 했다.
경찰국 신설에 반대해 열린 전국 경찰서장(총경) 회의도 다시 도마에 올랐다. 윤 후보자는 이 회의를 주도한 류삼영 총경을 직무명령 위반으로 대기발령하는 등 조치한 데에 “총경회의를 그대로 놔둬서는 자칫 위법 우려가 제기될 수도 있다는 분위기를 참모들과 논의해, 조직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도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긴급하게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윤 후보자는 윤석열 대통령이 ‘국기문란’으로 규정한 치안감 인사 번복 사고와 관련해 책임자인 치안정책관(경무관)을 경징계한 데엔 “최종적으로 제가 결정했다”고 말했다.
초대 경찰국장으로 부임한 김순호 치안감의 경찰 입문 과정을 둘러싼 의혹은 야당이 집중 추궁했다. 김 국장은 과거 ‘인천부천 민주노동자회’(인노회)에서 노동운동을 하다 경찰에 특채돼 ‘동료 밀고’ 의혹을 받고 있다. 윤 후보자는 “(경찰국장) 추천 협의과정을 거쳤다”며 “그런 부분까지 알고 추천하지는 않았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민주화운동 탄압한 공로를 인정받은 것 같아 초대 경찰국장 부적절한 인사로 본다, 행안부 파견을 취소하고 복귀를 명해야 한다”는 이해식 민주당 의원의 말에 “행안부와 논의해보겠다”고 답했다.
윤 후보자 신상과 관련해서는 재건축 갭투자로 3억여원의 시세차익을 봤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윤 후보자는 “최초엔 거주 목적으로 구입했는데 전세 기간을 끼고 있다 보니 바로 입주를 못했다”며 “공교롭게 승진으로 지방 전출과 연달아 국외 유학, 귀국 무렵에 재건축이 시작돼서 거주할 수 없었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경찰국 신설 등과 관련한 공방은 오는 16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행안부 첫 업무보고에서도 이어질 전망이다. 이 자리엔 김순호 경찰국장도 출석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