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정부 출범에 맞춰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1년 유예 조치가 시행됨에 따라 그간 과도한 양도세와 보유세 부담으로 고민하던 다주택자들이 매물을 풀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똘똘한 한채’를 남기려는 다주택자들이 ‘못난이’ 매물부터 내놓고 있지만, 집값 고점 인식과 대출규제, 금리인상 등으로 신중한 거래를 추진하는 실수요자들은 상대적으로 괜찮은 입지 등을 갖춘 매물을 찾으면서 수요와 공급이 어긋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여경희 부동산R114 연구원은 “수요자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집값이 높다는 생각이 있다”며 “여기에다 대출규제 강화에 금리인상으로 이자 부담까지 커진 상황이어서 섣불리 거래에 나서지 않고 관망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여 연구원은 “이에 따라 실수요자들은 유망한 지역이거나 입지가 괜찮은 곳이 아니라면 급매물이 나온다고 하더라도 신중하게 거래에 임하는 상황”이라며 “그러나 다주택자들은 괜찮은 매물은 보유한 채 저렴한 지역 위주로 매물을 내놓고 있어 거래 소강상태가 해소되지 않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강남, 용산 등 고가 지역은 매물이 많이 나오지 않지만 간혹 소수가 높은 가격에 거래되면서 시세를 강화시키는 작용을 하고 있다”며 “추후 지역별로 입지에 따른 격차가 더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