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과거 총풍사건, 북풍사건을 떠올리게 한다”며 “한반도 긴장과 안보 불안을 조장해서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는 의도로 의심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결과적으로 북측이 안보 포퓰리즘 정쟁화에 도움을 줬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며 “북측의 이런 행위가 과연 어느 진영에 유리할까 생각하면 답은 나올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윤 후보는 핵을 탑재한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있을 경우를 가정해 선제타격 가능성을 언급했는데, 이 후보는 “자칫 선전포고처럼 비칠 수 있다”며 “세계 어느 지도자도 선제타격을 함부로 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국정 최고 책임자인 대통령은 나라의 운명과 국민의 삶을 통째로 책임지는 엄중한 자리”라며 “자신의 발언이 어떤 결과를 불러올지 신중히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지금이라도 선제타격 발언의 철회를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집권 후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어떻게 대응할지 묻는 질문에 “미사일 도발과 같은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반도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며 “결국 대화와 협력을 통해 미사일 발사와 핵 개발이 필요 없도록 만드는 게 국가 지도자의 의무이자 역량”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가능하면 남북이 협력적 경쟁을 통해 양측 모두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가는 게 바람직하다”며 “북한의 핵 개발은 국제사회와 남측 안보에 위협이고 북측에도 결코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그 악순환을 끊고 비핵화의 길로 가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북한은 지난 4일에 이어 11일 극초음속 미사일을 시험발사했다. 11일 발사된 미사일은 최대속도가 마하 10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평양에서 서울까지 1분이면 날아올 수 있는 속도다. 시험발사에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직접 참관한 것으로도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