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부

손의연

기자

시계 앞자리 뒷자리 시간전
경찰, 김성훈 경호차장 네 번째 구속영장 신청…검찰은 청구할까(종합)
시계 앞자리 뒷자리 시간전
[인사]국가인권위원회
동그라미별표
시계 앞자리 뒷자리 시간전
[속보]경찰, 김성훈 경호처 차장 네 번째 구속영장 신청
시계 앞자리 뒷자리 시간전
세월호참사 11주기 '기억과 약속의 달'선포…"함께 해달라"
시계 앞자리 뒷자리 시간전
`尹 선고` 앞두고 주요인사 신변 `빨간불`…경찰, 경계태세 만전

더보기

누구차 +더보기

  • 박보검·아이유의 추억 속 로맨스…향수 불러온 이 차는[누구차]
    박보검·아이유의 추억 속 로맨스…향수 불러온 이 차는
    이다원 기자 2025.03.15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어느새 봄이 다가온 모양입니다. 코 끝을 스치는 바람이 따뜻해졌습니다. 햇볕도 따뜻하게 느껴집니다.봄날같은 드라마가 최근 인기입니다.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 중인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인데요. 지난 7일부터 4회씩, 매주 금요일마다 공개되고 있습니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1막에서는 1960~1970년대, 제주의 봄을 배경으로 빛나는 아이유와 박보검의 로맨스가 등장했는데요.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스틸컷과 신진 코로나 순찰차 (사진=넷플릭스)과거 배경인 만큼 오래된 차가 많이 등장하는 것이 보입니다. 그 중에서도 유독 눈에 띈 차가 있습니다. 바로 순찰차인데요, ‘저 멋진(?) 순찰차는 뭐지?’ 싶은 순간이 있으셨을 테죠.넷플릭스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에 등장한 신진 코로나 순찰차. (사진=넷플릭스)이 자동차는 바로 신진자동차가 만든 ‘코로나’ 입니다. 제조사 이름도 차량 이름도 낯선 분도 계실 텐데요. 원래 코로나는 일본 토요타의 중형 세단입니다. 기술 제휴를 맺고 부품을 들여와 한국에서 조립, 판매한 곳이 신진자동차이고요.신진자동차는 지난 1955년 설립된 한국 자동차 제조사입니다. 지난 1960~1970년대를 풍미한 ‘역대급’ 차를 대거 출시한 바 있습니다. 신진자동차의 첫 번째 차는 버스였는데, 이후 일본 토요타와 기술 제휴를 맺고 난 뒤에는 코로나를 비롯해 크라운, 퍼블리카 등 승용차를 생산했습니다.신진자동차 코로나. (사진=GM 한국사업장)동그란 헤드램프와 그릴을 사각형 테두리가 감싸고, 각진 차체는 콤팩트하면서도 클래식한 맛을 더합니다. 긴 후면 오버행에 더해 격자무늬 테일램프까지 정중한 느낌이 듭니다. 그러면서도 유선형 실루엣이 드러나기도 해, 현대적인 멋도 살렸습니다.신진 코로나는 1966년 처음 출시됐습니다. 이후 한국 완성차 시장을 거의 ‘점령’하다시피 했는데요, 1960년대와 1970년대를 풍미한 차라고 하죠.하지만 코로나는 1960년대 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됩니다. 중국 진출을 노린 토요타가 신진자동차와 제휴를 끊으면서 더 이상 차를 생산하지 못하게 됐기 때문입니다.신진 코로나 광고. (사진=건국대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이후 신진자동차는 생산 중단과 재무 부실 등 여러 이유로 경영난을 겪다 산업은행 관리 하에 넘어가고 맙니다. 이후 새한자동차, 거화자동차 등으로 나뉘어 버렸죠. 새한자동차는 이후 대우자동차로, 거화자동차는 쌍용자동차로 다시 변화하게 됐고요.신진자동차 부평공장 전경. (사진=한국정책방송원)신진자동차 부평공장 전경. (사진=한국정책방송원)신진 코로나가 생산됐던 공장은 인천 부평에 있는 공장인데요, 맞습니다. GM 한국사업장 부평공장 자리에서 만들어진 것이죠.사람 사는 이야기를 담아낸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덕분에 다사다난했던 한국 자동차 산업의 역사를 새삼 돌아보게 됐습니다. 수많은 역경 속에서도 꿋꿋이 자리를 지킨 우리나라 자동차 공장을, 그리고 그 곳에서 일해온 근로자들을 생각해봅니다. 드라마 제목처럼, 한국 자동차 산업은 ‘폭싹 속았수다’(정말 수고했습니다)!
  • '제이미맘' 이수지의 라이딩 카…'강남 싼타페'의 정체[누구차]
    '제이미맘' 이수지의 라이딩 카…'강남 싼타페'의 정체
    이다원 기자 2025.03.08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패딩, 목걸이, 가방까지 이른바 ‘대치동 엄마’들의 취향을 그대로 옮겨 온 캐릭터가 있습니다. 바로 코미디언 이수지가 연기하는 ‘제이미(Jamie)맘’ 이소담입니다.이수지가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한 제이미맘이라는 캐릭터는 큰 반향을 불러왔습니다. 대치동 엄마들이 저런 취향을 가지고 있구나, 이해하게 만들뿐만 아니라 중고거래 플랫폼에 명품 패딩 매물이 대거 쏟아지게 만든 건데요.캐릭터 ‘이소담’을 연기하는 코미디언 이수지가 포르쉐 카이엔을 운전하고 있다. (사진=유튜브 채널 ‘핫이슈지’ 캡쳐)캐릭터 ‘이소담’을 연기하는 코미디언 이수지가 포르쉐 카이엔을 운전하고 있다. (사진=유튜브 채널 ‘핫이슈지’ 캡쳐)이같은 현상을 보고 자동차 커뮤니티에서도 웃음이 끊이지 않습니다. 며칠 전 한 커뮤니티에는 “이러다 ‘이 차’도 ‘당근’하는 것 아니에요?”라는 한 회원의 글이 올라왔습니다.강남 엄마들의 필수템 반열에 오른 이 차, 제이미맘도 타는 바로 이 차는 포르쉐 준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카이엔입니다.캐릭터 ‘이소담’을 연기하는 코미디언 이수지가 포르쉐 카이엔에서 내리고 있다. (사진=유튜브 채널 ‘핫이슈지’ 캡쳐)포르쉐 카이엔은 지난 2002년 글로벌 시장에 처음으로 등장한 차입니다. 슈퍼카 브랜드 최초의 SUV로, 곡선을 살린 외관과 뛰어난 주행 성능뿐만 아니라 넉넉한 실내를 확보했죠. 휠베이스(축간 거리)가 2895㎜에 달하기 때문입니다.카이엔 제원은 전폭 1985㎜, 전장 4930㎜, 전고 1670㎜입니다. 그래서일까요? 온라인 상에서는 포르쉐 카이엔을 ‘강남 싼타페’라고 부르기도 한다고 합니다. 강남에서는 국산차만큼 흔히 보이는데다, 크기만 놓고 보면 전폭 1900㎜, 전장 4830㎜에 다하는 현대차 싼타페와 비슷한 수준이기 때문이겠지요.아무리 흔하다 해도 카이엔 가격대는 ‘억’소리가 납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카이엔 △카이엔 E-하이브리드 △카이엔 S E-하이브리드 △카이엔 GTS △카이엔 터보 E-하이브리드 등과 쿠페 모델이 판매 중인데, 일단 카이엔 기본형이 1억 3980만원부터 판매되고 있습니다.고성능 GTS 또는 터보 E-하이브리드까지 가면 2억원 수준이죠. 지난해 말 공식 출시한 신형 카이엔 E-하이브리드와 터보 E-하이브리드의 경우 부가세를 포함해 각각 2억 1050만원, 2억 1660만원(2025년형 기준)에 팔리고 있습니다.카이엔 터보 E-하이브리드. (사진=포르쉐코리아)카이엔 터보 E-하이브리드 내장. (사진=포르쉐코리아)그럼에도 카이엔이 한국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지난 2023년부터 판매 중인 카이엔의 경우 포르쉐다운 아이덴티티를 유지한 외관을 갖췄습니다. 포르쉐 스포츠카를 닮은 전면 후드와 헤드램프, 유려하면서도 듬직한 곡선 실루엣, 간결한 후면부가 대표 특징이죠.또 실내에는 12.6인치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디지털 클러스터뿐만 아니라, 조수석에서 미디어를 감상할 수 있는 10.9인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가 도입됐습니다.카이엔 E-하이브리드 쿠페.(사진=포르쉐코리아)주행 성능은 물론이고, 탑승자에게 다양한 주행 경험을 제공한다는 점까지 포르쉐 카이엔은 어디 하나 빠지지 않는 프리미엄 SUV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일까요? 한국수입차협회(KAIDA)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시장에서 판매된 포르쉐 카이엔은 총 3584대입니다. 이 중 개인 구매자 비중은 56.9%로, 총 2039대가 개인 구매자에게 판매됐죠.포르쉐 카이엔이 가장 인기 있었던 연령대도 살펴보겠습니다. 연령 특정이 가능한 개인 구매자 중 881대(43.2%)가 40~49세 차주에게 판매됐습니다. 이어 30~39세 소유주가 보유한 카이엔이 484대(23.7%)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월드스타' 블핑 지수가 따라샀다는 '이 차'[누구차]
    '월드스타' 블핑 지수가 따라샀다는 '이 차'
    이다원 기자 2025.02.22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사진=뉴시스,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그룹 블랙핑크 멤버들의 솔로 활동이 최근 활발합니다. 제니와 리사, 로제에 이어 지수의 솔로 앨범이 나온 건데요. 배우 차승원이 등장하는 뮤직비디오와 중독성 있는 사운드로 존재를 알린 지수의 솔로곡 ‘earthquake’를 듣다 보면, 지수의 독보적인 감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사진=블리수)이렇게 고유한 색을 갖춘 인물이지만 차는 정작 다른 사람의 것을 따라 샀다고 합니다. 바로 만능 연예인 혜리의 차를 따라 샀다는 건데요, 이런 사실은 지난해 지수가 혜리의 유튜브 채널에 출연하면서 알려졌습니다. 지수는 혜리의 차를 타보고 “이런 차 타면 되게 좋다”며 “운전하기도 편해 보이네”라고 생각해 같은 차를 구매했다고 했습니다.(사진=유튜브 채널 ‘혜리’ 캡쳐)(사진=유튜브 채널 ‘혜리’ 캡쳐)그 차는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유튜브 채널을 통해 알려진 혜리의 차를 살펴보겠습니다. 바로 메르세데스-벤츠의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GLC입니다.메르세데스-벤츠 GLC는 지난 2015년 처음 출시한 베스트셀링 모델입니다. 전 세계에서 약 300만대의 판매량을 올렸고, 국내에서도 높은 인기를 구가하고 있습니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벤츠 GLC는 올해 1월 가장 많이 판매된 수입 SUV에 올랐습니다.메르세데스-벤츠 GLC 300 4MATIC 아방가르드. (사진=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배우 겸 가수 혜리가 메르세데스-벤츠 GLC를 운전하고 있다. (사진=유튜브 채널 ‘혜리’ 캡쳐)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는 대표 SUV인 GLC의 인기를 이어가기 위해 올해 신규 트림 2종을 추가했습니다. GLC 300 4MATIC 아방가르드, GLC 300 4MATIC 쿠페 아방가르드 등입니다.GLC 제원을 살펴보겠습니다. 전장 4716㎜, 전폭 1890㎜, 전고 1640㎜로 5도어 중형 SUV에 걸맞는 몸집을 갖췄습니다. 휠베이스(축거)는 2888㎜로 널찍한 실내 공간을 확보했습니다.실내를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차량 중앙에 위치한 11.9 인치 발광다이오드(LED) 센트럴 디스플레이에는 벤츠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MBUX 3세대를 탑재했습니다. 또 티맵 기반의 차량용 내비게이션 ‘티맵 오토’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3세대 MBUX는 증강현실 내비게이션, 다양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등을 갖춰 주행 편의를 강화했습니다.출력 측면에서도 아쉬움이 없습니다. GLC 신규 트림은 직렬4기통 가솔린 엔진을 탑재해 258마력의 최고 출력과 40.8㎏·m의 최대 토크를 발휘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통합 스타터 제너레이터(ISG)를 통해 내연기관 엔진에 최대 17kW, 205Nm 토크의 추가 전기 공급을 지원한다고합니다.메르세데스-벤츠 GLC 300 4MATIC 쿠페 아방가르드. (사진=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더 뉴 메르세데스-벤츠 GLC 300 4MATIC 쿠페 내장.(사진=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인기 있는 사양을 쏙쏙 모아 만든 벤츠 대표 SUV인 만큼, 이 차를 따라 사고 싶은 사람이 많을 테죠. 메르세데스-벤츠 GLC 가격은 트림에 따라 상이합니다. 2025년식 가격(부가세 포함, 개별소비세 인하분 반영 기준)을 보면 △GLC 220 d 4MATIC 78400만원 △GLC 300 4MATIC 아방가르드 7880만원 △GLC 300 4MATIC AMG 라인 8840만원 등입니다.

사회부 뉴스룸

오세훈 “탄핵 선고 지연에 각하·기각 가능성 커져”

박태진 기자 2025.03.17

디엘지, 태국 합작법인 설립…동남아 법률시장 교두보

성주원 기자 2025.03.17

경찰, 김성훈 경호차장 네 번째 구속영장 신청…검찰은 청구할까(종합)

손의연 기자 2025.03.17

국민건강보험공단 "청년인턴 780명 찾습니다"

이지현 기자 2025.03.17

檢, '오세훈 후원자' 김한정씨 세 번째 소환조사

송승현 기자 2025.03.17

“겨울만큼 춥다”…‘최저 -4도’ 꽃샘추위 속 강풍에 눈·비[내일날씨]

김형환 기자 2025.03.17

세월호 유족 “윤석열 파면하고 11주기 노란리본 달아달라”

이종일 기자 2025.03.17

3대가 모두 충남대 출신에 충남대 교수까지 ‘화제’

박진환 기자 2025.03.17

의대생 등록 시한 21일부터 도래…복귀 여부는 ‘안갯속’

신하영 기자 2025.03.17

[르포]"세계 컬링의 별 의정부에 모였다"…시민들 응원 ‘후끈’

정재훈 기자 2025.03.17

'규제철폐 총력' 서울시, 민간전문가 '규제총괄관' 도입 추진

함지현 기자 2025.03.17

콩팥 손상 심해지면 투석이나 신장이식까지 받아야 할 수도

이순용 기자 2025.03.17

'소득대체율 43%' 국민연금 여야 합의에…시민단체 규탄 목소리

이영민 기자 2025.03.17

[데스크칼럼]尹탄핵심판 선고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

김영수 기자 2025.03.17

오늘의 인사 종합

박기주 기자 2025.03.16

알콜중독 아내와 다시 이혼하고 싶어요[양친소]

백주아 기자 2025.03.16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