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책부

피용익

기자

시계 오래됨
[데스크의 눈]아홉 번의 거부권과 서른 번의 탄핵
시계 오래됨
지하철역, 와인바, 타이어수리점…설날 전국서 화재 잇따라
동그라미별표
시계 오래됨
일본 증시 상승 마감…닛케이225 지수 1%↑
시계 오래됨
핵과학자협회가 지구 멸망 앞당길 요인으로 AI를 꼽은 이유는
시계 오래됨
딥시크에게 ‘언론의 자유’ 물었더니…“미안, 다른 얘기하자”

더보기

타봤어요 +더보기

  • "한국인 취향 다 담았다"…전기차 대중화 기대주 'EV4'[타봤어요]
    "한국인 취향 다 담았다"…전기차 대중화 기대주 'EV4'
    이다원 기자 2025.04.24
    [하남=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아무리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의 시대라지만 세단의 부드러움과 실용성을 원하는 수요도 꾸준하다. 전기차 대중화를 앞당기려면 이들을 만족시킬 잘 만든 전기 세단이 필요하다. 기아가 이 수요를 ‘준중형 전기 세단’ EV4라는 새로운 선택지로 저격했다.지난 23일 미디어 시승회에서 달리고 있는 더 기아 EV4. (사진=기아)지난 23일 더 기아 EV4 미디어 시승회에 참석해 경기 하남~광주시 일대 약 70㎞를 주행했다. 일반도로와 국도, 고속도로가 혼합된 구간을 지났다.EV4는 익숙하면서도 낯선 첫인상을 가진 차다. 전면부에는 기아 특유의 ‘타이거 페이스’가 적용됐는데 헤드램프가 한층 날렵하고, 보닛도 각져있지 않다. 쿠페처럼 C필러부터 트렁크 끝까지 완만하게 이어지는 측면 실루엣을 갖췄지만, 세단답게 낮고 매끈한 차체가 남다른 인상을 남긴다. 후면에는 듀얼 루프 스포일러를 적용해, 뒤에서 보니 마치 귀가 쫑긋 서있는 듯하다.기아 EV4 전측면.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기아 EV4 운전석.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기아 EV4 ccNC에 적용된 KBO ‘기아 타이거즈’ 테마.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기아 EV4는 너비 1860㎜, 높이 1480㎜, 차 길이 4730㎜의 중형급 세단으로 분류된다. K5와 비슷한 크기로, 길이는 약간 짧다. 그런데도 휠베이스(축간 거리)는 2820㎜로 비슷하다. 넓은 실내를 보장할 수 있는 셈이다.운전석에 앉으니 널찍한 실내에 쾌적함이 느껴졌다. 큰 핸들 너머로 12.3인치 클러스터가 보이고, 고개를 조금만 돌리면 공조(5인치)와 인포테인먼트(12.3인치)를 통합한 와이드 디스플레이가 펼쳐진다. 기아는 EV4부터 ccNC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는 KBO 디스플레이 테마를 도입했다. 기아 타이거즈 테마를 적용해서인지 내비게이션 속 내 위치가 ‘호걸이’로 표시됐다.컬럼식 기어 레버를 돌려 주행을 시작하니 높지 않은 시야와 부드러운 가·감속, 가벼운 조향감이 느껴졌다. 세단만의 안정적 주행감에 전기차 특유의 정숙성까지 더해 편안한 드라이빙이 가능했다. 다만 전기차 치고 가벼운 공차중량(1745~1760㎏) 때문인지 운전대가 너무 가볍다는 느낌도 들었다.차량이 없는 도로에서 가속 페달을 꾹 밟았더니 금세 시속 100㎞에 도달했다. 체감상 SUV형 전기차보다 빠른 듯했다. 낮은 차체와 가벼운 몸집에 전기차만의 폭발적인 가속을 더하니 차가 날아가는 느낌이 들었다. 회전 구간에서도 낮게 치고 빠져나가니 편안하다. EV4는 최고 출력 150㎾, 최대 토크 283Nm의 성능을 갖췄다.지난 23일 미디어 시승회에서 달리고 있는 더 기아 EV4. (사진=기아)회생제동 1단계, ‘노멀’ 모드로 20㎞가량 주행하다 회생제동 단계를 올려 봤다. 3단계까지 올렸더니 주행 가능 거리가 좀체 줄어들지 않았다. 과속방지턱을 앞에 두고 가속 페달에서 발만 떼도 충분할 정도로 감속해 주행 피로도가 한층 줄어들었다. 가속 페달 조작만으로 가속, 감속, 정차까지 가능한 i-페달(아이페달) 3.0을 적용한 덕이다.기아 EV4는 81.4kWh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한 롱레인지 모델과 58.3kWh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한 스탠다드 모델로 나뉜다. 1회 충전 주행거리는 스탠다드 382㎞, 롱레인지 533㎞로 각각 나타났다. 롱레인지 기준 현대차그룹 전기차 중 충전 이후 주행거리가 가장 길다. 시승 차량인 롱레인지 모델에 처음 탑승했을 때 배터리는 94%, 주행 가능 거리는 458㎞로 나타났다. 첫 번째 구간 이후 회차지에서 전비는 7.0㎞/kWh로 나타났다.지난 23일 미디어 시승회에서 달리고 있는 더 기아 EV4. (사진=기아)지난 23일 미디어 시승회에서 달리고 있는 더 기아 EV4. (사진=기아)이후 돌아오는 구간은 구불구불한 데다 신호기가 곳곳에 서 있는 일반 도로와 국도가 혼합돼 있었다. ‘에코’ 모드로 주행 모드를 바꾸고 i-페달을 적극 활용해 배터리 회수율을 높여 봤다. 그러다가도 고속도로에서는 달릴 수 있는 만큼 달리기도 했다. 최종 전비는 7.5㎞/kWh였다. EV4의 공인 전비는 복합 기준 5.8㎞/kWh, 도심 기준 6.2㎞/kWh다.기아는 EV4를 스탠다드 △에어 4192만원 △어스 4669만원 △GT 라인 4783만원에 출시했다. 롱레인지는 △에어 4629만원 △어스 5104만원 △GT 라인 5219만원 등이다. 전기차 세제혜택과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보조금 등을 고려하면 서울 기준 실제 구매 가격은 스탠다드 모델 3400만원대, 롱레인지 모델 3800만원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진짜를 보여줄게" 아우디 Q6 e-트론의 반격[타봤어요]
    "진짜를 보여줄게" 아우디 Q6 e-트론의 반격
    이다원 기자 2025.04.24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아우디 전동화의 미래를 알리는 차가 도로 위에 등장했다.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이지만 존재감만은 대어급인 전기차, 아우디 Q6 e-트론을 지난 18일 타고 서울~경기 일대 약 320㎞를 달려 봤다. 고속도로와 시내, 비포장도로 구간을 골고루 주행했다.아우디 Q6 e-트론.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아우디는 Q6 e-트론을 필두로 전기차 ‘시즌 2’를 열고 있다. 포르쉐와 함께 개발한 중형급 프리미엄 전기차용 플랫폼 PPE 플랫폼을 기반으로 만든 첫 차량인 만큼 탄탄한 기본기를 바탕으로 한다. 아우디만의 강렬함을 살리면서도 새로운 정체성을 반영한 디자인 변화도 반영했다.전면부는 전기차답게 폐쇄형 그릴을 적용했고 위에는 아우디 ‘포링(4 Ring)’을 평면화한 새로운 로고를 얹었다. 날렵한 실루엣을 주간주행등(DRL) ‘명가’다운 디자인이 완성하는데, 타고 내릴 때마다 DRL이 빛나며 웰컴·굿바이 라이트를 비추는 것이 일품이다. 테일램프 역시 OLED를 이용해 고급스럽게 디자인했다.아우디 Q6 e-트론 전면부.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실내 공간은 SUV임에도 운전자 중심이라는 느낌이 든다. 운전석에 앉으면 몸을 감싸는 듯한 차량 디자인이 느껴진다. 여기에 11.9인치 버추얼 콕핏 플러스, 14.5인치 MMI 센터 디스플레이까지 어우러져 주행 편의를 더한다. 도어 패널에는 차량 잠금부터 라이팅까지 다양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물리 버튼이 빼곡히 배열돼 있어 공간 활용이 적절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특히 얇은 육각형 모양의 운전대가 마음에 들었다. 차 자체는 중형급으로 크지 않지만, 실내는 마치 대형 SUV만큼 널찍하다.아우디 Q6 e-트론은 폭스바겐그룹이 개발한 전기차 전용 PPE 플랫폼을 적용한 차다. 시승 차량인 퍼포먼스 프리미엄 트림은 삼성SDI 100kWh 용량 배터리를 탑재해 최고 출력 225㎾, 최대 토크 49.5㎏·m을 발휘한다고 했다.아우디 Q6 e-트론 1열. 넓게 펼쳐진 운전석 디스플레이로 공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아우디 Q6 e-트론 2열. 레그룸이 넓지는 않다.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토글 형식 기어를 조작해 ‘D’ 모드에 놓자 차가 서서히 나아갔다. 가속 페달을 밟자 전기차답게 빠르게 속도를 높이는 느낌이 들었다. 발에 힘을 세게 주자 템포에 맞춰 차근차근, 그러면서도 잽싸게 속도가 붙어 순식간에 시속 50㎞로 달리고 있었다. 조향 감각은 아우디답게 일품이다. 조금만 틀어도 운전자가 원하는 만큼 차체를 돌리고, 가뿐하게 코너를 빠져나간다.Q6 e-트론의 1회 충전 시 주행 가능 거리는 공인 기준 468㎞다. 하지만 실제 운전석에 앉아보니 520㎞가 훌쩍 넘는 주행 가능 거리가 눈에 들어왔다. 회생제동을 활용하며 주행했더니 주행거리가 도무지 줄지 않는 듯했다. 320㎞를 주행하고도 배터리는 44%, 거리는 256㎞가 남았다. 누적 기준 실주행 전비는 6.2㎞/kWh로 공인 전비(4.3㎞/kWh)를 웃돌았다.아우디 Q6 e-트론.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운전대 뒤 패들 시프트로로 회생제동 단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아예 꺼진 상태에서는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회생제동이 일부 들어가되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도 좀처럼 속도가 줄지 않는다. 단계를 가장 높여 보니 원페달 드라이빙이 가능할 정도로 감속하는 듯했다.다만 독일차 특유의 단단한 서스펜션은 적응되지 않았다. 퍼포먼스 프리미엄 트림에는 스포츠 서스펜션이 적용됐는데, 회생제동과 조합하니 운전석에서 머리가 헤드레스트에 쾅쾅 부딪힐 정도로 제동 반경이 커졌다. 전기차다운 조용함도 고속에서는 사라진다. 풍절음과 노면 소음이 커지는 대신, 뱅앤올룹슨 3D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이 운전석·조수석 헤드레스트에서 음악을 흘려보내 상쇄시킨다.아우디가 그리는 전동화의 미래를 드러내는 차를 만난 듯했다. 국내 시장에 Q6 e-트론은 △퍼포먼스 △퍼포먼스 프리미엄 △콰트로 프리미엄 △SQ6 e-트론 등 총 4개 트림이 출시돼 있다. 가격은 시승 모델인 퍼포먼스 프리미엄 트림은 8990만원부터다.
  • 달리는 퍼스트클래스…안마까지 해 주는 ‘마이바흐 GLS’[타봤어요]
    달리는 퍼스트클래스…안마까지 해 주는 ‘마이바흐 GLS’
    정병묵 기자 2025.04.19
    [이데일리 정병묵 기자]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가 지난해 최상위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메르세데스-마이바흐 GLS’의 첫 부분변경 모델 ‘메르세데스-마이바흐 GLS 마누팍투어’를 출시했다. 2021년 출시 이후 약 3년 만의 첫 부분변경으로 돌아온 마이바흐 GLS는 투 톤 페인트를 포함하는 매력적인 외장 컬러, 실내에 고급감을 더하는 새로운 디자인의 시트 커버를 갖췄다. 일등석과 같은 최상의 편안함을 제공하는 마이바흐 주행 프로그램과 E-액티브 바디 컨트롤 서스펜션 등 마이바흐만의 럭셔리함이 돋보이는 요소를 통해 한 층 더 업그레이드했다. ‘메르세데스-마이바흐 GLS 600 4MATIC 마누팍투어’(사진=정병묵 기자)‘메르세데스-마이바흐 GLS 600 4MATIC 마누팍투어’(사진=정병묵 기자)‘메르세데스-마이바흐 GLS 600 4MATIC 마누팍투어’(사진=정병묵 기자)차의 첫인상은 압도적인 크기에 우선 놀란다. ‘스타렉스’ 같은 승합차가 아닌가 싶을 정도로 차체 높이 184cm에 달하며 길이는 521cm, 너비는 203cm로 초대형 SUV의 위용을 자랑한다. 골목 주행시 차에 훼손이 가지 않도록 극도의 주의를 기울여야 했다. 문을 열만 차량 하단의 컨버터블 발판이 튀어나와 높은 차체에 손쉽게 오르도록 돕는다. 문을 닫으면 발판이 자동으로 들어간다.‘고급스러움’이란 단어를 자동차로 구현하면 마이바흐 GLS가 될 것이다. 마이바흐 GLS의 내외관은 SUV 중에서도 독보적 위상을 자랑한다. 정교하고 우아한 라인의 라디에이터 그릴에는 고광택 크롬 바가 수직으로 배열됐으며, 상단에는 ‘마이바흐’ 레터링이 새겨져 최상위 모델로서 존재감을 드러낸다. ‘메르세데스-마이바흐 GLS 600 4MATIC 마누팍투어’(사진=정병묵 기자)‘메르세데스-마이바흐 GLS 600 4MATIC 마누팍투어’(사진=메르세데스-벤츠)인테리어 역시 최고급 소재와 장인정신이 담긴 디테일로 더욱 업그레이드됐다. 인테리어에서 가장 큰 변화는 새로운 시트 커버 디자인이다. 시트 표면과 등받이 중앙 부분에 적용된 고품질 다이아몬드 패턴 퀼팅은 마이바흐 특유의 고급스러움을 강조하며, 마이바흐 GLS 전용 익스클루시브 나파 가죽이 적용됐다. 특히, 마누팍투어 모델에는 세련된 분위기의 헬리오스 컬러도 옵션으로 제공해 선택의 폭을 넓혔다.시트가 마사지까지 제공한다. 에어 챔버와 온열기능으로 등과 요추를 마사지하며 편안함을 제공하는 멀티컨투어 시트가 앞 뒷좌석에 모두 탑재됐다. 또한 공기질 및 미세입자 센서를 통해 유해한 공기와 PM2.5의 초미세먼지를 걸러주는 공기 청정 패키지 등 최적의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실용적인 편의기능이 적용됐다. 이 밖에도 탑승자의 기분과 취향에 따라 차내 온도, 앰비언트 라이트, 마사지 기능 등을 유기적으로 조절해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는 에너자이징 패키지 플러스는 물론, 팔걸이와 도어 패널 등에도 온열 기능을 제공하는 열선 패키지가 포함된다. ‘메르세데스-마이바흐 GLS 600 4MATIC 마누팍투어’ 컨버터블 발판(사진=정병묵 기자)‘메르세데스-마이바흐 GLS 600 4MATIC 마누팍투어’ 컨버터블 발판(사진=정병묵 기자)직접 운전하는 것보다 뒷자리에 앉는 게 더 좋은 차다. 넉넉한 실내 공간을 기반으로 일등석과 같은 최상의 편안함을 전달한다. 최고급 나파 가죽으로 마감된 이그제큐티브 시트는 전동 리클라이닝 기능으로 등받이를 최대 43.5도까지 기울일 수 있으며, 다리 받침대도 함께 늘어나 긴 주행 시간 중에도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뒷좌석 전동식 사이드 윈도우 선블라인드는 강렬한 햇빛과 외부의 시선을 차단해준다.뒷좌석 탑승객은 두 개의 11.6인치 터치스크린이 포함된 MBUX 뒷좌석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영화, 음악을 재생하거나 웹 서핑을 즐길 수 있다. 최상의 퀄리티를 자랑하는 두 개의 메르세데스-벤츠 무선 헤드셋과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는 7.4 인치 탈착식 MBUX 뒷좌석 태블릿이 함께 제공된다. ‘메르세데스-마이바흐 GLS 600 4MATIC 마누팍투어’ 내부 조명(사진=정병묵 기자)마이바흐 GLS의 주행 성능은 마치 날렵한 코끼리를 타고 달리는 느낌이다. 강력하고, 효율성이 뛰어난 파워트레인을 기반으로 부드러우면서도 파워풀한 퍼포먼스를 발휘한다. 엄청나게 큰 차체에도 4리터 V형 8기통 M177 가솔린 엔진은 최고 출력 557ps, 최대 토크 78.5kgf·m에 달하는 강력한 파워로 거침없이 달린다. 뒷좌석에는 탑승자의 편안함에 초점을 맞춘 쇼퍼(chauffeur) 전용 모드 ‘마이바흐 주행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다. 해당 모드로 주행 시 변속기는 흔들림 없는 승차감을 위해 빠르고 부드럽게 기어를 변속한다. 또한 노면 상태 및 주행 환경에 상관없이 일등석의 편안함을 제공한다. 특히 커브 주행 모드에서는 코너링 시 차체를 기울여 한 층 더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한다. 가격은 3억1760만원.

경제정책부 뉴스룸

프랜차이즈부터 파인다이닝까지…필리핀 외식시장 접수한 K푸드[食세계]

김은비 기자 2025.04.26

산업장관 “이번주부터 한미 통상 실무협의”

김형욱 기자 2025.04.26

방미 중에도 추경 걱정…최상목 “신속처리 전제시 유연하게” 증액 시사

김미영 기자 2025.04.26

근로자의 날에 일하면 '휴일근로 수당' 확인하세요[노동TALK]

서대웅 기자 2025.04.26

대출금리 4%대 요지부동…"금리인하기 맞나요"[한은미리보기]

정두리 기자 2025.04.26

미세 갑상선암 의심 진단…암 보험금 받을 수 있나요[호갱NO]

하상렬 기자 2025.04.26

외국인, 국채선물 2.3만계약 순매수…국고채 10년물, 4.7bp↓(종합)

유준하 기자 2025.04.25

기재부, 한전 등 우수 공시기관 14곳 선정

강신우 기자 2025.04.25

외환거래규모 '역대 최대'…외국인 채권투자·환헤지 ↑

장영은 기자 2025.04.25

이재명이 쏘아올린 '해수부 부산 이전론'에 갑론을박

권효중 기자 2025.04.25

[데스크의 눈]다가오는 '제로성장' 눈 뜨고 당할텐가

함정선 기자 2025.04.14

[데스크의 눈]아홉 번의 거부권과 서른 번의 탄핵

피용익 기자 2025.03.24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