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이데일리 취재를 종합하면, 내년도 출판 산업 지원 관련 정부 예산은 31억 원 증액한 460억원으로 확정했다. 올해(429억 원)보다 소폭 늘었지만, 2023년 예산(473억원)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세부 항목을 보면, 도서 보급·나눔 사업(세종도서·문학나눔) 예산을 131억원으로 늘렸으나 2023년 예산 140억6500만 원에는 미치지 못했다. 독서 기반 지역 활성화 7억 원, 디지털 독서 확산에 3억 원 등 책 읽기 수요 창출을 위해 32억 원을 책정했다. 또 정부 주도로 내년 처음 개최하는 ‘책 읽는 대한민국’(가제) 캠페인을 위한 예산 10억 원이 신규 편성됐다. 권역별 선도 서점 육성(11억 원)과 디지털 도서 물류 지원(14억 원)으로 지역 서점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
주무 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는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 결과, 민간 부분에 개입하지 않는 게 맞다고 판단했다”며 “대신 내년도 예산 11억 원을 신규 투입해 중대형 서점과 지역 소형 서점이 협력하는 동시에 출판 유통 구조 개선을 모색할 수 있는 사업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실제 아마존의 온라인 서점에 완패했던 미국의 대형 서점 체인업체 반즈앤노블(Barnes & Noble·B&N)의 부활에서 정부 정책의 의도를 엿볼 수 있다. 한때 자본력을 앞세워 ‘골목상권’을 위협하는 ‘서점가 골리앗’으로 통했던 B&N은 2000년대 들어 온라인 대형 서점 아마존의 등장으로 매출 내리막길을 걸었다. 2019년 헤지펀드에 매각된 이후 도서 시장의 패러다임을 이끄는 주인공이 됐다.
업계는 B&N의 부활 비결로 △업의 본질에 집중 △큐레이션 △현지화를 꼽는다. 지역 친화적인 인디(독립) 서점화 전략을 통해 아마존이 할 수 없는 영역을 찾아냈고, 경영도 개선했다. 본사에서 전국 단위로 하던 도서 주문도 지역 매장 관리자가 결정하도록 했으며 출판사에 광고비를 받아 책을 진열하는 이전의 악습도 없앴다. 이런 B&N의 노력은 서점 문화를 되살리는 동시에 주변 독립 서점들에도 기회가 돼 공생하게 됐다는 평가다.
|
교보문고의 올해 소설 분야 판매량 점유율도 전년대비 35.7% 확대됐다. 교보문고 관계자는 “젊은 층에서 ‘텍스트힙’(독서가 멋있다) 문화가 형성되는 등 텃밭이 만들어진 상황에서 한강의 수상 소식으로 마침 출판시장이 부응할 분위기가 조성됐다”며 “인기가 지속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성신 평론가는 “극소수의 베스트셀러 최상위 도서에만 판매가 집중되는 한국 독자 특유의 구매 패턴이 있기 때문에 B&N 전략이 성과를 내기는 힘들 것”이라면서도 “다만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으로 책에 대한 관심이 커진 상황에서 실험해볼 만하다”고 했다.
출판 비즈니스도 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 평론가는 “음반산업이 연예기획사로 바뀐 것처럼 출판사도 가내수공업에서 벗어나 작가를 발굴하고, 저작권을 기획·관리하는 새로운 출판 시스템으로 전환해야 살 수 있다”고 했다. 한기호 출판마케팅연구소장은 “이(異)종과의 연결을 통해 부가가치를 키워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