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코스닥 지수는 이달 들어서만 21% 급락했다. 30일엔 617선까지 밀려 연 고점(932.01)보다 무려 33.8%나 떨어졌다. 이달 코스피 지수 하락률 14%보다 훨씬 가파르게 급락한 셈이다. 급락장인데다 개인투자자의 비중이 크다보니 변동폭이 커질 수밖에 없단 단점이 부각됐단 평가다. 김갑래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 나스닥 시장의 경우 기업 성장성에 대한 분석이 가능한 기관들이 시장에서 버팀목 역할을 해주는데 코스닥 시장은 기관의 비중이 적다”며 “성장성 있는 기업보다는 바이오주 등 테마 중심으로 오르고 시장 공포에 대한 대응 역시 단기적으로 이뤄진다”고 지적했다.
특히 개인투자자들은 빚을 내 주식을 투자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역시 하락장엔 주가 폭락을 촉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주가 하락→반대매매→주가 하락`으로 이어지는 전형적인 폭락장 패턴이 나타날 수밖에 없단 분석이다. 대규모 반대매매와 시가총액 감소에도 불구하고 코스닥의 신용융자 잔고 비중(신용융자/시가총액 비중)은 29일 현재 2.12%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
기업 상장 실적도 지지부진한 상태다. 금융위는 올해 코스닥 신규상장기업수가 100건을 달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증시를 둘러싼 대내외 악재로 기업공개(IPO) 시장까지 침체되면서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기업수는 30일 현재 총 49개사(이전상장 포함, 재상장·스팩합병 제외)에 불과하다. 현재까지 심사가 승인된 28개사를 연내에 모두 코스닥 시장에 상장시킨다고 해도 턱없이 부족한 숫자다. 한국거래소 측은 코스닥 신규상장기업수 100건은 채우지 못해도 지난해 상장기업수인 78건과 비슷한 수준까진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있다.
한 거래소 관계자는 “현재 시장의 문제는 차세대 먹거리인 바이오가 코스닥 지수를 끌어올릴 만큼 선전하지 못하고 있는 데다 미국과 중국간 무역분쟁, 기업 실적 악화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해 발생했다”며 “아무리 코스닥 활성화 정책을 펼친다 한들 기업이 활약하고 무역분쟁이 완화되기 전까지는 문제가 해결되기 어렵다”고 말했다.
증권가에선 시장 체질개선이 이뤄지지 않은 점이 문제라고 지적한다. 홍춘욱 키움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코스닥 펀드(11월 집행 예정)를 만들려고 하는 등 수급 쪽에서 반짝 부양은 있었지만 코스닥 시장에 좋은 회사들이 남아있게 한다거나 개인투자자 비중을 줄인다거나 등의 체질개선까진 이뤄지지 않았다”며 “결국 이런 문제들이 해결돼야 코스닥 시장도 근본적으로 살아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