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제품여권(DPP)은 제품의 탄소배출량, 내구성 등의 지속가능성 정보, 공급망 정보 등 제품수명주기 전반에 걸친 주요 데이터를 마치 사람의 ‘여권’처럼 확인할 수 있도록 저장하고 공유하는 제도를 말한다.
EU의 DPP 제도는 2027년 2월 배터리부터 시작해 섬유, 철강, 전자, 타이어 등으로 확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EU에서 판매되는 제품은 탄소배출량, 재활용 가능성, 지속가능성 관련 정보를 디지털 형태로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한다.
국제적으로 DPP 식별체계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중 GS1 기반의 QR코드는 ①기존 바코드의 기능을 포함해 매장에서 결제 및 재고 관리에 동일하게 활용이 가능하고, ②국제적으로 호환이 되며, ③웹 기반으로 소비자나 이해관계자가 원재료 출처, 탄소 배출량, 재활용 정보 등 다양한 제품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상의는 DPP 제도에 대비해 기업들의 대응전략으로 법적 규제요건 이해, 데이터 관리 시스템 확보, 공급망 협업 등 사전 준비를 위해 세 가지를 강조했다. 먼저, 법적 규제 요건의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DPP에 연동할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확보도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보고서는 공급업체와의 데이터 공유 협력 수준을 점검하고 공급망 내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설정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