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부위원장은 이날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린 국제증권업협회협의회(ICSA) 국제세미나 기조연설에서 "외환위기와 공적자금 덕분에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한 금융산업이 이제는 민간부문의 투자위험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 부위원장은 "금융구조조정 과정을 거치면서 금융산업은 외환위기 전에 비해 더욱 은행 중심적으로 변화했다"고 평가했다.
금융회사의 건전성은 개선된 반면 수익성과 안전성에 치중하면서 실물부문의 괴리현상이 심화됐고, 기업금융보다 소비자금융이 강조되면서 가계부채 대란과 부동산가격 상승을 초래했다는 분석이다.
이 부위원장은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과제로 ▲기관투자가의 육성과 함께 ▲자본시장 국제화와 외환시장 선진화 ▲국채시장 전문화 ▲재정정책과 금융시장의 유기적인 결합 등을 꼽았다.
우선 "한국 금융시장의 위험기피 성향을 개선하려면 기관투자자의 육성과 행태 변화가 필요하다"며 "특히 적립금 규모가 급증하고 있는 국민연금의 역할이 중요하며, 기금 자산배분의 분권화와 소득비례 부분의 확정기여형 전환 등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 부위원장은 "외환시장의 선진화도 중요한데 외환시장 규모가 일정 수준이상으로 커지지 않고 효율성이 개선되지 못하면 조그만 충격에도 환율이 급변해 거시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국채발행 잔액이 국내총생산(GDP)의 30%를 넘어선 만큼 국채발행 비용 절감과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해 국가부채에 대한 체계적인 위험관리가 필요하다"며 "정부내 국가채무관리부서를 별도로 신설해 국채시장의 전문화와 국제화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첨단산업에 대한 민간금융기관의 투자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어느 정도 위험을 분담해줄 필요가 있다"며 "다만 과거와 같은 직접적인 지원보다는 자본시장을 이용한 간접적인 방식으로 전환해 금융시장의 발전을 동시에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