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기 종료를 앞둔 문 대통령은 남은 국정과제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위해 여당의 대권 후보이자 미래 권력인 이 후보와의 호흡이 필요하다. 그동안 강성 친문과 대립각을 세워온 이 후보 역시 40%대 콘크리트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는 대통령의 지지가 절실하다. 경선 막판 3차 선거인단 투표에서 저조한 성적을 거뒀던 만큼 더 그렇다.
청와대는 정치적 중립 의무가 있는 만큼 이 지사 혹은 당의 요청이 오는 대로 회동 여부를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2002년 4월 김대중 대통령이 당시 노무현 새천년민주당 후보와, 2012년 9월 이명박 대통령이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와 청와대에서 만나는 등 전례가 있어 정치적인 부담은 적다.
중도 사퇴한 후보들의 득표를 무효표로 처리한 데에 이의를 제기하며 사실상 경선 결과에 불복한 이 전 대표의 움직임이 변수다. 이 전 대표는 상대적으로 친문 지지가 강했던 후보였던 만큼 경선 후유증이 커지는 것은 대통령에게도 부담이다. 반대로 여당 후보의 요청이 있었음에도 대통령이 시간을 끈다는 늬앙스를 주는 건 괜한 오해를 살 수도 있다.
대선판을 흔들고 있는 대장동 개발 특혜의혹이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 후보는 의혹을 해명하는 과정에서 “(문재인 정부의)부동산 정책 실패에 따른 예상 못 한 집값 폭등 때문”이라고 화살을 돌렸다. 청와대 역시 지난 5일 “(대장동 의혹을)엄중하게 보고 있다”는 반응을 내놓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