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주요 은행의 자금부, 리스크관리부에서는 이번 6대 조치가 유동성·자본건전성 지표에 미칠 영향도를 분석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벤처펀드 등 실제 투자한 자산에 위험가중치를 적용하는 안에 대해 “위험가중치 적용을 개선하면 투자에 도움을 줄 수는 있지만 영향은 크지는 않을 것이다”며 “현재 은행의 자본 여력이 넉넉하지 않은 상황에서 당장 관련 상품개발로 이어지기는 어렵다”고 진단했다.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해외 외부신용평가기관에서 받은 평가등급을 은행의 위험가중치 산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효과는 미미할 것이다”며 “해외 신용평가기관에서 평가를 받은 기업은 보통 해외 수출량이 많은 우량 기업인데 이런 사례는 극히 적다”고 말했다.
보험업계도 증권시장안정펀드 미사용금액의 위험가중치를 낮춰주는 조치에 대해 더욱 전향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현재 보험사의 증권시장안정펀드 매입약정금액은 1조 5000억원 수준이다. 이를 제외한 잔여매입약정금액에 대해 지급여력비율(K-ICS) 위험액을 애초 절반 수준(35%)으로 부과키로 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회사마다 다르지만 지급여력비율에 미치는 영향도는 1%포인트가 안 되는 수준일 것이다”며 “도움이 되긴 하지만 실제 자본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업계가 ‘전향적 대책’을 강조하고 나선 것은 환율이 15년 9개월 만에 1450원대를 넘어서는 등 자본건정성 관리에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환율이 오르면 은행·보험의 외화자산 평가액이 높게 잡히고 환 헤지 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자본건정성 관리가 어려워진다. 각 사가 자본적정성 관리를 위해 안정적 영업을 하면 신용도가 낮은 벤처·스타트업 등 모험자본 투자가 위축될 수밖에 없다. 배당 여력이 줄어 밸류업(기업가치 제고)에도 제동이 걸릴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