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전, 청와대·열린우리당·정부 등 3자가 참여한 가운데 8·31 부동산대책을 발표한지 한달쯤이 지난 시점.
당시 한 정부 고위당국자는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8·31 대책으로 인해 내년말 1가구2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중과에 따라 `전세 대란`이 올수 있다는 점이 솔직히 우려된다"고 털어놓았다.
이 당국자는 "양도세 중과 시행이 가시화되면, 세금을 우려한 1가구 2주택자가 전세를 놓고 있는 세컨드 주택을 매각할 것으로 정부는 예상하고 있다"고 전제, "하지만 `언젠가는 집값이 다시 오를 것`이라는 기대가 없어지지 않는다면, 이들이 매각보다는 전세를 월세로 바꿔 주택을 그대로 보유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전망했던 것.
`전세`는 향후 집값 상승에 따른 투자 이익(Capital gain)을 노리고 보유한 채로 50%도 안되는 가격으로 임대를 놓는 것인데, 향후 투자이익을 올릴 가능성이 없다면 임대수익으로 이익 실현에 나서기 때문에 월세로 전환할 것이라는 설명이었다.
문제는 종합부동산세나 양도세 중과로 인한 `전세→ 월세` 전환 원인 뿐아니라, 공급확대 정책이 매우 약했던 점 등 다른데도 그럴만한 원인이 있었다는 것.
그 자리에서 이 당국자는 "8·31 대책으로 당분간 건설업체들의 신규 분양이 감소하고 입주물량이 줄어드는 현상이 당분간 불가피할 것"이라며 "여기에 정부 장담과는 달리, 임대 공급정책에서 차질이 빚어질 경우 임대 공급 부족까지 겹치게 될 수 있다"고 우려했었다.
이같은 `전세 대란` 우려로 정책적 대응이 필요했었지만 1년이 지나서까지 제대로 된 전세 대책이 나오지 않았다.
무엇보다 당시 이런 주장이 8·31 대책을 흔드는 `공급확대론`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본 청와대 등에서 경청하지 않았던 것이 주요 이유중 하나.
이 인사는 대신 개인적으로 부동산정책실무단 관계자에게 이같은 우려를 전달하는데 그쳤다.
결국 `전세 대란`을 예견한 정부내 시장주의자들의 주장이 꺾이면서 1년뒤 `전세대란`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가을 이사철이 시작되면서 전세시장이 ▲물량 부족 ▲가격 급등 ▲월세 확산등 정부 당국자가 예견한 현상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오늘(11일) 접촉한 이 당국자는 " 당시 임대주택 기반이 갖춰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집값을 누르는 정책을 쓴 것이 (전세대란의) 이유"라며 "임대주택에 대한 백업 장치를 만들어야 했다는 생각에서 한 말로, 지금 와서는 정부로서도 어떤 대책을 내놓기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