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서울시에 따르면 최근 시는 ‘청년이 선호하고 육아 친화적인 기업 문화 만들기에 앞장설’ 서울형 강소기업 65곳을 선정했다. 이들 기업엔 청년 정규직 채용 시 근무환경개선금을 최대 4500만원 지원하고, 육아휴직자 대체 청년인턴 인건비 지원, 일·생활 균형 교육·컨설팅, 청년재직자 번아웃 예방 프로그램 혜택 등을 제공한다.
하지만 서울형 강소기업으로 선정된 일부 업체들은 선정 절차와 기준에 적합했는지 여부에 논란이 일고 있다.
온라인정보 제공업을 하는 A사는 영화나 동영상, 애니메이션 파일을 다운로드·스트리밍 할 수 있는 사이트를 운영 중이다. 특히 성인용 콘텐츠도 활발히 다루고, 자극적인 배너도 메인 페이지에 걸려있다. 물론 성인인증을 해야 이용 가능하고 음지화 우려가 있는 성인용 콘텐츠를 양지화한다는 차원에서 회사 자체가 문제라고 볼 수는 없다.
취업 정보 얻기 어렵고 채용 안하는 곳도 선정
서울형 강소기업 중에는 급여가 최저임금 수준으로 낮거나 계약직 형태 채용이 다수인 기업도 있다. 또 구직자를 위한 정보가 부족하거나 채용이 이뤄지지 않는 곳도 있다. 이런 부분이 불법은 아니기 때문에 각 업체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사안이다. 그러나 강소기업 평가 항목에는 ‘근로자 처우 수준’과 ‘고용 안정성’, ‘일자리 창출 실적’ 등이 포함돼 있다.
공공기관 등의 전자 구매 시스템을 제공·운영하는 B사는 홈페이지 내에서 자사가 제공하는 서비스 외에 취업 관련 정보를 얻기 어렵다. 취업 포털에서도 최근 3년간 2회의 정규직 채용이 있다고 알리지만 직원 수는 0명으로 돼 있을 정도다.
디지털 콘텐츠 제작사인 C와 웹툰 등 콘텐츠 제작·유통업체인 D사는 취업 포털상 올해 입사자 평균 월급이 260만원 미만으로 적시돼 있다. C사는 지방 근무자를 구하기도 하고, D사는 계약직 형태의 채용이 주로 이뤄지고 있다. 재활용 무인회수기를 운영하는 E사는 평균 월급이 이보다 높은 300만원 수준이나 운영팀장부터 기구설계 등 계약직 형태의 고용이 다수 이뤄졌다.
서울형 강소기업의 기준에 맞게 다양한 복지제도와 일·생활 균형, 성 평등 제도를 운용하면서 기업의 우수성이 높은 곳 들도 다수 있었다. 그럼에도 적절성에 의구심을 갖게 되는 기업들이 일부라도 포함된다면 서울형 강소기업 전체의 신뢰도에 타격을 입힐 수도 있다. 이에 정량적 평가에 의존하는 서울시의 평가 기준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시에서는 향후 청년들에게 취업을 추천할만한 기업을 선별해 목적에 맞게 강소기업 선정 방식을 재검토해 하겠단 입장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는 각 기업의 사업 내용 등은 고려하지 않고 제도적으로 복지제도가 잘 돼 있는지 등만 확인하고 있다”며 “강소기업 선정위원회와 함께 정량적인 부분뿐 아니라 정성적인 부분도 고려하는 등 기준과 제도를 변경하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