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이데일리 김윤지 특파원] 미국이 주도하는 첨단 반도체 제조장비 대중 수출 통제로 중국이 반도체·인공지능(AI) 등 분야에서 20년 뒤처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 (자료=이미지투데이) |
|
6일 홍콩 사우스차니아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레슬리 우 대만 반도체산업 컨설턴트는 “이번 미국, 네덜란드, 일본의 합의로 그동안 중국 반도체 업계 전반이 생존을 위해 의존했던 비(非)미국산 반도체 제조장비에 대한 접근도 막혔다”면서 “외국 기술이 없다면 중국 반도체 산업이 잃어버린 입지를 회복하고 첨단 기술 분야에서 격차를 좁히는 데 최소 20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비실리콘 반도체나 양자 컴퓨터 분야는 성숙 단계에 있으나, 실리콘 기반 반도체 분야는 아직 15~20년 정도 더 발전해야 할 여지가 있는 것으로 내다봤다.
2019년 미중 간 기술 전쟁이 시작되면서 중국은 미국이 아닌 반도체 공급자들에게 눈을 돌렸다. 2021년에만 중국 업체들은 네덜란드의 반도체 제조장비 업체 ASML로부터 21억7000만달러(약 2조7179억원) 규모의 반도체 제조장비를 사들였다. 하지만 지난달 27일 미국과 일본, 네덜란드는 미 워싱턴에서 실무 협의를 열고 미국이 지난해 10월 발효한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에 함께 하기로 의견을 모으면서, 중국은 사실상 자체 기술로 반도체 산업을 구축해나가야 하는 상황이 됐다.
이 여파로 강력한 컴퓨터 반도체를 필요로 하는 중국의 AI 개발 분야도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자연어 처리, 대화형 AI 등 인공지능 모델과 알고리즘 교육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엔비디아 A100과 H100 반도체는 지난해 8월부터 중국 시장 수출이 금지됐다. 대만 TSMC도 지난해 10월 미국 상무부의 제재 이후 A100 대안으로 떠오른, 중국이 설계한 AI 반도체 위탁 생산을 중단했다.
중국의 한 AI 업계 관계자는 이에 고성능 반도체 품귀 현상이 나타나고, 구입 가능한 반도체 가격도 5~6배 상승했다고 말했다. 그는 “장기적으로 제재 위반 우려 등으로 대기업들이 제품을 재설계하거나 관련 사업을 철수할 수 있고 중소기업들은 파산 등 심각한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면서 “살아남더라도 연구개발(R&D) 자금이 삭감되고 혁신 역량이 약화돼 중국 관련 산업이 전반적으로 위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때 반도체 자급을 달성하고 미국의 제재 영향에 대응하기 위한 중국 정부의 1조위안(약 184조원) 규모 지원책도 거론됐다. 우 컨설턴트는 “이 같은 규모로 수십 년간 지원이 지속되지 않는 한 중국이 기술 수준을 손쉽게 따라잡기는 불가능하다”면서 “보조금 지급이 유일한 방법이겠지만 이는 노력 대비 비효율적인 접근”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