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대통령은 7일 세대 연료전지 특화단지, 국내 최대 규모의 액화수소플랜트 구축으로 수소경제 핵심거점으로 자리잡은 인천을 방문하여 수소경제 성과 및 수소 선도국가 비전을 함께 논의하고,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문 대통령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이후 짧은 기간 동안에 세계가 주목할 성과를 거둔 것은 튼튼한 산업 역량과 함께 우리 기업과 국민의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2050년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탄소저감 수단으로서의 수소경제의 중요성이 더 증가한 만큼 정부는 기업의 든든한 동반자로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청와대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수소산업은 매출액(13%), 투자액(60%)이 모두 증가 추세에 있을 뿐만 아니라, 모빌리티 수단도 수소승용차에서 수소트램(창원), 수소화물트럭(울산, 인천), 수소청소차(창원), 실내물류용 지게차(울산), 수소버스 자율주행(세종)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다.
시작은 3년 전 프랑스 국빈 방문 당시 이뤄진 한불 수소전기차 협력이다. 문 대통령은 당시 파리의 수소전기차를 시승한 것 뿐만 아니라 에두아르 필리프 총리와 회담에서 2025년까지 수소차량 2500대를 공급하는 MOU를 체결한 바 있다. 당시 문 대통령은 “프랑스는 수소산업에 강점이 있고 한국은 수소차량 생산에 장점이 있는 만큼 한국의 수소차량은 프랑스로, 프랑스의 수소산업은 한국으로 진출시키자”고 제안했다.
문 대통령은 이듬해 1월 수소경제와 미래에너지전략 보고회를 거쳐 대통령 전용 수소차를 채택했으며 10월에는 현대차 남양연구소에서 미래차 국가비전 선포식을 갖기도 했다. 아울러 2020년에는 친환경차 수출 현장을 방문하고 미래차 확산 및 시장선점전략을 살폈다. 올해에도 지난 3월 충남 서산의 대산수소연료전지 발전소를 방문하고 5월에는 그린수소 생산전략 보고로 이어졌다.
문 대통령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기반으로 △세계최초 수소법 제정 △R&D·인프라·수소차·충전소·안전·표준 등 6대 분야별 정책 마련 ③수소경제위원회 출범 등 수소경제 이행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구축됐다. 청와대에 따르면 이를 바탕으로 수소차·수소충전소·연료전지 보급에 2년 연속 세계 3관왕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수소트럭·차량용 수소연료전지시스템, 발전용 연료전지 등 신제품을 수출하는 쾌거도 이루어 수소산업이 미래 유망 수출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토대도 마련됐다.
정부는 수소경제 육성을 위한 다음 단계로 국내외 청정수소 생산주도, 빈틈없는 인프라 구축, 모든 일상에서 수소 활용, 생태계 기반 강화 등 생태계 구축에 초점을 맞췄다. 특히 오는 2030년 수소 사용량은 지난해 대비 17대 증가한 390만 톤이 될 전망인 만큼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그린수소 생산을 가속화하고 국내외 탄소저장소를 확보해 청정 블루수소 생산을 확대하는 한편 해외 청정수소 개발을 통해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기로 했다.
이밖에 조선산업과 연계를 통한 수소운송 및 관련 인프라 구축, 수소 모빌리티 적용 확대, 수소 발전 확대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및 산업분야의 친환경 전환, 수소 생태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제 공동 연구와 투자 활성화 등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한 금융·세제 지원으로 2030년까지 수소경제 분야에서 양질의 일자리 5만개를 창출한다는 플랜이다.
정부 정책에 발맞춰 지난 3월 SK와 현대자동차, 포스코, 한화, 효성 등 민간기업도 청정수소 생산, 액화수소 생산·유통, 수소연료전지와 다양한 수소모빌리티 보급 확대 등에 2030년까지 약 43+α조원 규모의 투자를 추진하기로 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