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균 전 국회 연금개혁 특별위원회 공론화위원장(서울대 명예교수)은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
김상균 전 위원장은 “21대 국회에서 논의해왔던 방향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4월 공론화과정에서 시민대표단은 보험료율 13% 인상, 명목소득대체율 50% 상향조정에 가장 많은 표를 던졌다. 하지만 21대 국회 논의과정에서 소득대체율 43%, 45%에서 이견을 보이다 막판 합의도출에 실패했다. 그런데 정부는 이보다 낮은 42%를 제시했다.
하지만 논의 과정은 험난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자동조정장치 도입과 세대별차등인상, 의무가입연령을 현재 59세에서 64세까지 상향 조정하는 안 등을 두고 입장차가 첨예하게 갈리고 있어서다.
그는 “사회 보험 제도를 실시하는 한 자동조정장치 도입이 불가피하다”며 “자동조정장치 없이 사회보험을 유지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할 정도로 (다른 나라에서는)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고 소개했다.
세대별차등인상률에 대해서는 “연구를 깊이 하면 도움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것”이라고 짧게 말했다.
의무가입연령 상향조정은 연금전문가로서는 해법이 쉽지 않다고 봤다. 현재 시민사회단체에서는 은퇴 후 연금 수령이 바로 이뤄지지 않아 소득공백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의무가입연령 상향조정은 소득크레바스(공백)만 더 길어지게 할 수 있다며 우려를 내놓고 있다.
이에 대해 김 전 위원장은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노동시장을 봐가면서 해야 한다. 이건 일종의 구조개혁이라고도 볼 수 있는 문제다. 계속 노력하는 것 이외에는 방법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위원장은 연금개혁 시간이 별로 없다며 빠른 개혁을 주문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연금 개혁을 정부가 주도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사실 국회가 주체인 게 맞다”며 “21대 국회에서부터 연금개혁에 책임감을 가지고 있어 이번엔 (개혁이) 될 거다”라고 긍정적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