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란은 크게 두 가지다. 첫 번째는 돔구장을 짓는 동안 원래 잠실야구장을 홈으로 사용했던 LG와 두산이 어디서 경기를 하느냐다. 현재는 잠실구장 옆 올림픽 주경기장을 야구장으로 개조해 사용하는 쪽으로 의견이 모인 상태다. 잠실 주경기장은 리모델링 공사가 진행 중이고 2026년 말 완공 예정이다.
잠실 주경기장을 야구장으로 개조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전혀 문제가 없다. 2012년 런던올림픽 주경기장이자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웨스트햄의 홈구장인 런던 스타디움은 일주일 만에 관중석 5만석 규모 야구장으로 변신해 정규시즌 경기를 개최했다.
진짜 문제는 대체 구장의 관중석 규모다. 얼마전 서울시와 두산-LG 구단, KBO 등으로 구성된 ‘대체 구장 조성’ 태스크 포스 회의에서 대체 구장 관중석의 적정 규모로 지금 잠실야구장의 절반 정도인 1만2000석을 제안했다.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모이면 안전사고 우려가 높다는 것이 이유다.
팬과 구단은 당연히 반발한다. 올 시즌 잠실구장을 홈으로 쓰는 LG와 두산의 홈경기 평균 관중은 1만7000명 선이다. 휴일에는 2만명을 훌쩍 넘어 최대 규모인 2만3750석이 매진되는 일도 심심치 않게 나온다. 대체구장 수용 규모를 1만2000석으로 제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맞지 않다는 지적이다.
서울시는 올해 3월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메이저리그 서울 시리즈’ 기간 동안 암표 단속을 위해 오세훈 시장까지 나서 팔을 걷어붙였다. 그럼에도 웃돈이 100만원 넘게 붙은 암표가 온라인상에서 거래되는 일이 일어났다.
돔구장 형태도 논란의 도마 위에 있다. 서울시와 사업주체 측은 돔구장을 고정된 지붕이 씌워진 폐쇄식으로 짓는다는 계획이다. 반면 야구팬들은 지붕을 여닫을 수 있는 개폐식을 원한다.
팬들의 요구는 설득력이 있다. 미국, 일본은 1990년대 이후 폐쇄식 돔구장을 더 이상 짓지 않는다. 폐쇄식 돔구장의 여러 부작용은 설명이 필요없을 정도다. 폐쇄식 돔구장의 대명사인 도쿄돔만해도 1988년에 지어진 경기장이다. 미국 최초의 폐쇄식 돔구장이었던 미국 휴스턴의 애스트로돔은 구시대 유물로 전락해 철거될 운명이다.
개폐식 돔구장의 지붕을 여닫을 때 막대한 비용이 든다는 것도 옛날 얘기다. 1989년 세계 최초의 완전 자동 개폐식 돔구장인 캐나다 토론토의 로저스 센터의 경우 지붕을 여닫는데 1000만원 이상 소요됐다. 그래서 특별한 조건이 아니면 지붕 개폐를 진행하지 않았다.
지금은 다르다. 가장 최근에 지어진 개폐식 돔구장인 북해도 에스콘필드의 경우 한 번 지붕을 여닫는데 비용이 20~30만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비용 절감은 기술적으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다.
사업성은 당연히 중요하다. 다만 사업성만을 위해 시민과 팬의 목소리를 무시해선 안된다. 어려움이 뒤따르더라도 이들이 최대한 만족할 방안을 찾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팬의 바람을 외면한 채 일방적으로 사업이 진행된다면 막대한 돈을 들이고도 비판받는 역효과가 날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