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대결절은 목에 생긴 ‘굳은살’이다. 지속해서 고음을 내기 위해 목에 과다한 힘을 주면 성대에 굳은살이 생긴다. 성대의 굳은살을 없애기 위해서는 몇일 간의 음성휴식이 필요하나, 이 과정이 없을 경우 점점 성대결절이 진행되며, 이로 인해 쉰 목소리가 점점 심해지게 된다.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많은 것이 특징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성대결절(성대의 소결절) 성별별 환자수는 최근 5개년(2018년 ~2022년) 동안 평균적으로 남성보다 여성 환자수가 80% 이상 더 높게 나타났다.
◇ 빈번하지 않아도 목 잘못 사용 시 성대폴립 발생
성대폴립은 잘못된 발성으로 생긴 ‘용종(혹)’이다. 과격한 발성으로 성대의 작은 혈관이나 조직이 손상되어 물혹이 생기고 성대결절과 같이 쉰 목소리가 나오게 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보면, 성대폴립(질병코드 J381, 성대 및 후두의 폴립)은 남성과 여성 환자수에 큰 차이가 없고, 전체 환자수도 성대결절 환자수보다 적다.
김수일 교수는 “성대폴립은 목을 자주 사용하지 않더라도 소리를 크게 지르거나 지속적인 기침 후에 성대가 자극을 받아서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다”며, “반면에 성대결절은 지속적으로 목을 사용하면 발생하기 쉬운 질환이고 여러 직업이 목소리 사용 빈도가 높기 때문에 더 많은 환자수를 보인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쉰 목소리는 갑자기 목소리를 많이 쓰거나, 감기에 걸려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는 일주일 정도면 호전된다. 하지만 2주가 지나도 쉰 목소리가 호전되지 않으면 음성질환을 의심해야 한다. 성대결절은 쉰 목소리 외에도 지연 발성, 고음에서 분열되거나 부드럽지 못한 소리가 나오거나 중복음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성대폴립은 쉰 목소리와 후두 이물감으로 인한 잦은 기침, 용종이 커지면 호흡이 어려운 증상이 있을 수 있다.
◇ 입 또는 코를 통해 내시경으로 진단
성대는 육안으로 관찰이 어려운 부위다. 음성질환을 자세히 진단할 때는 입 또는 코를 통해 후두 내시경을 이용한다. 성대결절을 더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 성대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볼 수 있는 스트로보스코프(Stroboscope)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성대 점막의 운동을 자세하게 관찰한다. 보통 성대결절은 양쪽 성대에 발생하고, 성대폴립은 한쪽 성대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 치료 위해 발성 교정 필요...소아는 대부분 음성 치료
후두 미세 수술은 전신마취 후 입안으로 후두경을 삽입하여 성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 후에, 현미경으로 병변을 확대해 보면서 안전하게 병변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수술 시간은 원인 질환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30분 이내로 소요된다. 짧은 시간 내에 수술이 가능하므로, 아침에 입원해 수술을 받고 다음날 오후에 퇴원을 할 수 있다. 수술 후에는 가능하면 약 1주 정도 음성사용을 자제하고 술, 담배 및 커피를 피하여 수술 부위가 깨끗하게 치유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후에도 1~2주간은 발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자주 목 쉰다면 헛기침 등 잘못된 발성습관 있는지 점검
음성질환의 근본적인 원인은 성대 점막이 지속해서 큰 자극을 받는지에 있다. 가장 흔한 이유는 음성의 오남용이다. 따라서 성대에 무리가 갈 수 있는 습관은 최대한 삼가는 것이 좋다. 오랜 시간 이야기를 하다가 목소리가 쉬는 느낌이 들면 바로 휴식을 취해야 한다. 김수일 교수는 “자주 목이 쉰다면 발성습관을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며, “헛기침 하는 습관, 큰소리나 비명을 지르는 것, 극단적인 고음이나 저음을 내는 등의 습관 등이 대표적이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