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직 구체적인 방향은 나오지 않았지만 커넥티드 차량에 대한 정의와 규제에 따라 국내 업체에 이익이 될 수도 있고, 반대로 피해로 번질 수도 있다는 게 업계의 공통된 전망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커넥티드 차량이라는게 범위가 광범위해 어느 선까지 규제를 할 것인지에 따라 국내 기업에 유불리가 나뉠 것”이라며 “특히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의 합작품인 카넥티드카 범위와 제제 수위를 어떻게 하느냐를 놓고도 논란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예컨대 우리기업이 글로벌 표준화를 위한 커넥티드카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중국기업과 공동으로 기술을 개발했고, 향후 미국에 수출하는 차량에 해당 기술을 접목할 경우 제재 대상이 되는지 여부 등이다.
이에 우리 정부도 지난달 30일 미국 상무부에 제출한 의견서에서 “미국 정부가 향후 조사와 규칙 제정 과정에서 △커넥티드 차량에 대한 세밀한 정의를 내려줄 것 △커넥티드 차량 조사와 후속 조치를 ‘국가 안보에 중대한 위험’이 되는 부품과 서비스에 집중할 것 △새로운 규제 시행에 앞서 업계가 공급망을 점검하고 재편할 시간을 충분히 줄 것” 등을 요청하기도 했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이러한 SDV를 통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목표점이 SDx(Software-defined everything)다. SDx는 사람과 디바이스, 도시 인프라가 연결된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로서 움직이는 모든 이동 솔루션과 서비스가 자동화·자율화되고 끊김없이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차그룹은 이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각자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 가장 최적화되고 자유로운 이동을 경험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앞으로 미국이 발표할 예정인 중국산 커넥티드카 제제 수위에 따라 현대차의 이러한 협업 전략도 다시 짜야 하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다. 실제로 현대차·기아는 지난 2010년부터 바이두와 협업해오며 그간 통신형 내비게이션을 비롯해 음성인식 서비스, 카투홈·홈투카, 스마트 콘텐츠 서비스 등 바이두와 공동개발한 다양한 커넥티비티 시스템도 글로벌 양산차에 적용해 왔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이 우려하는 부분은 미국 운전자의 정보가 중국으로 넘어가는 것”이라며 “이와 관련된 중국산 센서, 데이터 장비, 소프트웨어 등이 규제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고, 중국기업과 함께 개발했더라도 원천기술 권리가 현대차·기아에 있다면 제제 가능성이 낮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다만 규제안이 명확하게 마련되지 않을 경우 혼란이 불가피한 만큼 민관이 협력해 미 정부에 구체적인 규제안을 요청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