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글로벌 PEF 약점으로 떠오른 ‘의사 결정 버퍼링’

여유자금·강달러 흐름 속에서도
글로벌 PEF 투자 체결 지지부진
협상 장기전+느린 의사결정 여파
해외 투자협의체 재가에 속도감↓
국내 사무소 권한 실어주나 관심
  • 등록 2022-12-06 오전 4:43:52

    수정 2022-12-06 오전 4:43:52

[이데일리 김성훈 기자] ‘넉넉한 보유 자금에 강(强)달러 흐름까지…’

글로벌 경영참여형 사모펀드(PEF) 운용사들에게 올해 국내 자본시장은 여러모로 투자하기 유리한 환경이다. 자금으로는 국내 운용사에 밀리지 않을뿐더러 달러 강세로 누릴 수 있는 환율 디스카운트도 무시할 수 없어서다.

이전에 없던 환경이 조성됐다는 평가도 잠시, 일각에서는 마냥 그렇지만도 않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유는 더 유리한 조건을 얻어내기 위해 장기전으로 가져가는 협상 전략에다 국내 운용사와 견줘 유난히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의사 결정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조지아주에 있는 SK온 공장(사진=SK온)
투자도 좋지만 장기협상은…

지난달 30일 한국투자프라이빗에쿼티(PE) 컨소시엄으로부터 6953억원을 조달한 SK온 프리IPO가 대표적인 사례다. 5일 자본시장에 따르면 SK온 프리IPO는 당초 글로벌 PEF 운용사 중심으로 투자를 논의하고 있었다. 그러나 세부 조율을 놓고 협상이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포트폴리오에 대한 투자 판단도 판단이지만, 글로벌 투자자들이 노린 포인트는 다른 게 없다. 자금 유치에 나선 SK온을 느긋한 모습으로 압박한다면 더 유리한 조건이 더해지지 않을까 하는 협상 전략이었다.

그런데 방향이 예상대로 흐르지 않았다. SK온은 지난 8월 글로벌 PEF 운용사와의 협상 테이블을 접고 국내 PEF 운용사 컨소시엄에게 자금 유치를 맡기며 방향을 선회했다. 한투PE 컨소시엄에 MFN(최고대우) 조항까지 얹어주며 후속 투자자들이 더 좋은 조건에 투자할 수 없도록 한 것도 주목할 부분이다.

최근 MBK파트너스를 새 우선협상대상자(우협)로 선정한 3D구강스캐너 업체인 메디트 인수전도 같은 맥락에서 바라볼 수 있다. 당초 미국계 PEF 운용사인 칼라일과 GS(078930) 컨소시엄이 우협에 선정됐지만, 이들 컨소시엄이 우협 지위를 내려놓으면서 새 국면을 맞았다.

시장에서는 매각가 이슈가 크게 작용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여러 의미를 내포하는 공시에서 GS-칼라일 컨소시엄이 협상 지속 의지를 시사한 점도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여타 후보들의 움직임을 보고 최종 가격대를 재설정하겠다는 의지가 깔려있다. GS-칼라일 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내려놓으면서까지 시장 분위기를 좀 더 보겠다고 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올해 가장 큰 규모의 M&A로 관심을 끌었던 메디트 인수전은 합리적 판단과 원하는 결과 도출의 괴리감을 보여주는 사례로 남을 전망이다. (사진=메티드)
유난히 느린 의사 결정 바뀔까

시장 안팎에서는 글로벌 PEF 운용사 특유의 느린 의사 결정 이야기도 나온다. 촌각을 다투는 인수전에서 해외 헤드쿼터(본부)로부터의 재가를 위해 감내해야 하는 시간이 인수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한 자본시장 관계자는 “글로벌 PEF 운용사의 경우 투자결정 협의체가 외국에 있고 한국팀에서는 결정권이 없다 보니 의사결정 구조가 다소 지지부진하게 흐른 경향이 있다”며 “협상 프로세스가 길어지면 매각 측에서도 좋은 시그널은 아니라고 보기 때문에 신속한 결정과 금액 보장을 중요하게 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로 글로벌 PEF 운용사들은 국내에 사무소를 두고 국내 투자에 적잖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계약 체결부터 가격 제안까지 독자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국내 사무소는 많지 않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으로 범위를 넓혀보면 국내 사무소는 글로벌 PEF 운용사들이 사무소를 두고 있는 여러 곳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다”며 “수천억, 수조원짜리 기업 인수를 두고 (국내 사무소에) 독자적인 권한을 준다는 게 쉽지는 않다”고 말했다.

글로벌 PEF 운용사들이 여러 우호 조건 속에서도 국내 투자에 적극 나서지 못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는 분석이다. 관심은 연말 M&A 시장에서 글로벌 PEF 운용사들이 의사결정에 변화 줄 것이냐에 쏠린다.

한 업계 관계자는 “실무를 진행하는 국내 사무소에 결정권을 실어주는 분위기로 변할 수 있을지가 중요하다”며 “일부 운용사처럼 아시아 투자 전권을 담당하는 보직을 세부적으로 둔다거나 한다면 속도 문제는 어느정도 해소할 수 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돌발 상황
  • 이조의 만남
  • 2억 괴물
  • 아빠 최고!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