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사업은 정부가 대학이나 연구소, 테크노파크(TP) 같은 연구 거점에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공동 R&D 인프라를 구축해주고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규모가 크지 않은 기업이 자체 R&D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고려한 지원사업이다. 정부는 2011년 이래 총 1조7000억원 규모의 사업을 추진해 대학·연구소 등에 4604대의 R&D 장비를 구축했다.
참여 희망 대학·연구소·TP가 기업 수요를 반영한 과제 수행 계획서를 제출하면, 정부는 수행기관을 선정해 최장 5년간 최대 100억원, 총 사업비의 최대 70%까지 지원한다.
산업부는 올해 사업 추진과 함께 중소기업이 각 기관에 산재한 R&D 인프라를 원스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산업혁신기술지원 플랫폼 사업도 추진한다. 소재부품이나 기계로봇 등 6개 업종별 대표 수행기관을 지정해 놓고 기업이 이곳에 장비 지원을 요청하면, 해당 기업에 필요로 하는 장비를 묶어서 안내하는 사업이다.
이민우 산업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반도체, 이차전지 등 첨단 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한 국제 경쟁이 치열해지는 중”이라며 “잠재력 큰 우리 기업의 아이디어가 R&D 성과로 빠르게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가 책임지고 필수 인프라를 제때 지원해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