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소비 지출 둔화에 따른 애플 실적 악화 우려를 제기하면서 투자의견을 내려 주식시장에 충격을 가했던 장본인인 웜시 모한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애널리스트가 3일(현지시간) 야후 파이낸스와의 인터뷰에서 애플에 대한 걱정을 이처럼 다시 확인했다.
|
그는 “진짜 문제는 소비자들이 지출을 벌써부터 줄이고 있다는 것이며, 그렇게 된다면 고가의 아이폰14 판매가 줄어드는 것은 물론이고 앱스토어 매출 등까지도 동시에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반적인 경기 둔화 우려에도 애플은 지난 3분기에 월가 예상을 뛰어넘는 매출과 주당순이익(EPS)을 내놓은 뒤 지난달 신작 플래그십 ‘아이폰14’를 출시하며 4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왔다.
애플은 전형적으로 연말 홀리데이 시즌에 아이폰과 애플 워치, 아이패드, 맥 등의 판매가 몰리면서 4분기에 늘 매출 정점을 찍었었다. 이는 올해에도 변함이 업을 것으로 보이지만, 모한 애널리스트는 “그 이후에 애플이 압박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봤다.
|
그는 “사실 지난 3~6월에도 전자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가 약화되고 있다는 추세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본다”면서 “가장 최근 데이터를 봐도 경기 둔화 우려로 상대적으로 값이 비싼 전자제품에 돈을 덜 쓰려는 흐름이 나타난다”고 말했다.
특히 아이폰과 애플 워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더 비싸면서도 최근 판매 성장세가 더 가팔랐던 맥과 아이패드에서 매출 둔화세가 더 뚜렷할 수 있다고 봤다. 모한 애널리스트는 “팬데믹으로 인해 사무실과 학교가 문을 닫자 직장인들과 학생들이 맥과 아이패드를 더 샀고 판매는 폭발적으로 늘었지만, 이제 이런 수요가 둔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팬데믹 때 이미 많은 소비자들이 이 기기들을 구입했기 떄문에 상당 기간 업그레이드나 교체 수요가 없을 것이며 이는 향후 몇 분기 동안 매출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애플 주가가 올 들어 지금까지 20% 하락하면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물론이고 여타 빅테크주보다 강한 흐름을 이어왔던 만큼 앞으로는 애플 주가가 다소 고전할 수 있다고도 했다.
애플은 이달 27일 장 마감 이후에 4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