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현지시간) 중국 반도체 굴기를 겨냥한 미국 반도체 지원법(CHIPS Acts)의 가드레일(안전장치) 조항 세부 규정안이 공개된 것과 관련, 업계 안팎에선 “최악은 피했다”는 안도의 목소리가 들린다. 이달 초 나온 미 반도체 보조금 지급 조건이 워낙 까다롭다 보니 ‘향후 10년간 중국 내 투자 전면금지’란 최악 시나리오까지 점쳐졌던 가드레일 조항이 예상보다 완화하면서 우리 기업들로선 중국 공장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여지가 생겼기 때문이다.
다만 중국 공장에서 만드는 첨단반도체의 경우 ‘5% 생산능력 제한’ 룰, 즉 양적 제재는 여전히 가해지는 만큼 올 10월 종료되는 미 정부의 대중(對中) 수출 규제 유예기간을 늘리는 데 주력하는 한편 추가이익 환수·군사용 반도체 우선 공급 등 기술노출·경영개입 우려를 낳은 보조금 조건을 최대한 불식시키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최근 발표된 정부·삼성의 용인 클러스터 구축이 ‘신의 한 수’라는 평가가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김형준 교수는 “삼성은 10년 뒤 중국 공장 운영이 어려워지면 용인에 시설 일부를 들여올 수 있다”고 했다. 범진욱 서강대 전자공학과 교수는 “주요국 간 반도체 공장 유치전 속 국내 생산시설을 갖추는 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용인 클러스터에 일본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 유치를 통해 안정적 공급망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또 업계와 함께 향후 60일의 의견수렴 기간 미 정부와 추가 협의에 나서겠다고 했다. 이를 위해 미 상무부 주요 실무진은 23일 방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