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TF1, 프랑스2 방송과 진행한 인터뷰에서 “올해 말에는 연금 개혁을 시행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이렇게 말했다.
|
의회 입법 절차가 끝난 연금 개혁법은 한국 헌법재판소 격인 헌법위원회에서 위헌 여부를 가려야 한다. 마크롱 대통령이 ‘연말’을 시한으로 거론한 것은 속도전 의지를 다시 한 번 피력한 것으로 풀이된다.
마크롱 대통령은 “(연금 수령) 은퇴자가 지금 1700만명이고 2030년에는 2000만명이나 된다”며 “지체할수록 상황은 더 악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다수 국민의 반발을 의식한듯 “연금 개혁을 하지 않는 게 나에게는 더 좋았을 것”이라면서도 “다른 대안이 없다”고 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연금 개혁을 추진하면서 떨어진 인기를 받아들일 준비가 됐다”며 “단기적인 여론조사 결과와 국가 전체의 이익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면 후자를 택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연금 개혁에 반대하는 이들은 재정 적자를 아무렇지 않게 얘기한다”며 “이것은 우리의 아이들이 지불해야 하는 돈”이라고 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프랑스 경제는 수십년간 약해지고 있고 복지 정책을 강화하면서 (복지에 대한) 권리는 증가하고 있다”며 “연금 개혁을 통해 프랑스의 경제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주장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아울러 “엘리자베트 보른 총리를 신임한다”며 총리 사퇴를 촉구하는 야권의 요구를 거절했다. 야당 의원들이 하원 표결 생략에 보른 총리에 대한 불신임안을 제출했다. 그러나 과반에서 9표가 모자라 부결됐고, 연금 개혁법은 자동으로 하원을 통과한 효력을 가졌다. 마크롱 대통령은 “보튼 총리는 정부를 이끌어갈 수 있게 만들어주는 나의 자신감”이라며 신뢰를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