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리원자력본부는 부산 기장군과 울산 울주군에 걸쳐 있는 원자력발전(원전) 시설로 영구정지한 고리 원전 1호기 외 고리 2~4호기와 신고리 1~2호기가 가동 중이다. 이곳에서 사용한 핵연료는 기존 건식저장시설(맥스터)에 보관 중인데, 작년 말 기준 포화율이 83.8%에 이르며 2031년께 포화 예정이다. 한수원은 이에 작년 말부터 저장시설 확충을 추진해 이날 이사회에서 관련 계획을 확정했다.
한수원은 고리원전 내 건식저장시설을 국내 중간저장시설 가동 계획(약 20년) 전까지 이곳에서 나오는 사용 후 핵연료 2880다발을 저장할 수 있는 규모로 짓는다. 핵연료를 금속 용기에 밀봉 후 이를 다시 건물 안에 저장하는 방식이다. 설계와 인·허가, 건설 등 7년의 과정을 거쳐 포화 전인 2030년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지역 주민 등의 반발을 고려해 이곳을 한시 활용하다가 국내 중간저장시설 건설 후엔 이를 지체 없이 반출한다는 조건도 붙였다. 한수원은 이곳 건설이 현재 가동 중인 원전 5기의 안정적인 운전과 더불어 현재 해체 작업을 준비 중인 고리 1호기 내 핵연료를 반출하는 데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사용 후 핵연료) 건식저장은 원전을 운영 중인 33개국 중 24개국이 채택해 안정성을 입증한 저장방식”이라며 “지진, 해일 등 자연재해는 물론 의도적 항공기 충돌에도 시설을 안전 운영할 수 있도록 강화한 규제 기준을 준수해 설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부 기본계획에 의거해 합리적인 지역 지원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라며 “설계 방향을 구체화하는대로 설명회와 공청회를 열어 지역과 소통하며 의견을 청취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