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 고지혈증 치료제 스타틴 천식 악화 위험 낮춰
  •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고지혈증 치료제인 ‘스타틴’을 복용한 결과 천식 악화 위험이 감소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아주대병원 알레르기내과 박해심·장재혁 교수팀과 의료정보학교실 박래웅 교수팀(박철형 연구원)은 고지혈증 치료제 스타틴을 지속적으로 복용한 천식 환자 545명과 복용하지 않은 천식 환자 545명의 임상 데이터를 10년에 걸쳐 추적 관찰했다.천식은 만성 기도 염증이 특징인 호흡기질환으로 그 발생과 경과에 다양한 기전들이 관여하는데, 최근에는 비만 뿐 아니라 고지혈증과 같은 대사성 증후군 또한 전신 염증 반응에 관여해 천식의 증상 조절과 예후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이와 관련 스타틴이 천식 기도에 항염증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지만, 장기적으로 천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려져 있지 않다. 스타틴은 고지혈증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사용하는 약물로, 간에서 콜레스테롤 생성 억제, 혈액 속 콜레르테롤 농도 낮추기, 염증 감소 등의 효과가 있다.연구팀은 두 환자군을 대상으로 △ 천식 악화 △ 천식 관련 입원 △ 2형 당뇨병·고혈압 발병 위험도 △ 염증 지표의 변화 등을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고지혈증으로 스타틴을 지속 복용한 천식 환자군은 복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천식 악화의 위험은 29%, 중증 천식 악화의 위험은 43% 낮은 것을 확인했다.연구팀은 천식 악화는 천식 증상 악화로 인해 예정되지 않은 병원 방문을 한 경우를, 중증 천식 악화는 전신 스테로이드 투여가 필요한 경우로 정의했다. 또 두 환자군에서 천식의 주요한 원인인 호산구의 변화는 뚜렷하지 않은 반면, 대표적인 염증 지표인 C 반응 단백질과 면역글로블린 E 및 저밀도 콜레스테롤(LDL)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연구팀은 이러한 결과는 스타틴이 천식을 악화시키는 염증과 깊은 연관이 있는 호산구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이외에 다른 염증 조절 기전을 통해 천식의 악화에 영향을 준 것을 확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외에도 스타틴이 2형 당뇨병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번 연구에서 두 환자군 간 당뇨병 발생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천식 치료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장재혁 교수는 “서로 별개의 질환으로 여겨졌던 고지혈증과 천식 간의 연결고리를 입증했으며, 더 나아가 고지혈증 치료제인 스타틴이 성인 천식 환자의 악화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는 치료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이번 연구는 10월 국제 학술지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In Practice에 ‘Real-world Effectiveness of Statin Therapy in Adult Asthma(성인 천식 환자에서 스타틴 치료의 실제 효과)란 제목으로 게재됐다.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연구중심병원 육성 R&D 연구 지원으로 수행됐다.
2023.12.04 I 이순용 기자
토큰증권 시장 열린다…기대감에 관련주 급등
  • [특징주]토큰증권 시장 열린다…기대감에 관련주 급등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토큰증권 거래 시장이 열린다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관련주들이 급등하고 있다. 4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27분 현재 갤럭시아머니트리(094480)는 전 거래일 대비 16.58% 오른 1만620원에 거래되고 있고 갤럭시아머니트리의 지분 약 54% 보유한 갤럭시아에스엠(011420)은 29.98% 오르며 상한가를 찍었다. 케이옥션(102370)은 전 거래일 대비 21.30% 오른 6150원에 거래 중이고, 서울옥션(063170)도 12.39% 오름세다. 핑거(163730)는 6.04% 상승 중이다. 토큰증권 관련주가 급등하고 있는 배경에는 최근 한국거래소가 STO 유통시장 개설을 위해 금융위원회에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을 신청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최종 신청이 이뤄지면 투자계약증권, 비금전신탁수익증권으로 발행된 조각투자 상품의 장내 시장에서 유통이 가능해진다.이에 관련 기업들을 줄줄이 금융당국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있다. 케이옥션은 자회사인 투게더아트가 미술품 투자계약증권의 증권신고서를 금융감독원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서울옥션의 자회사 서울옥션블루도 앤디워홀의 대표작인 ‘달러 사인’에 대한 미술품 투자계약증권 증권신고서를 금융 당국에 제출했다.
2023.12.04 I 이용성 기자
반도체 대형株 상승…삼전·하이닉스 1%대↑
  • 반도체 대형株 상승…삼전·하이닉스 1%대↑[특징주]
  • [이데일리 이은정 기자]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가 장 초반 1%대 오르고 있다. 4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15분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보다 800원(1.11%) 오른 7만28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각 SK하이닉스(000660)는 1800원(1.36%) 오른 13만4400원에 거래 중이다. 미국 증시는 직전 거래일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발언을 비둘기파적(통화 완화 선호)으로 받아들이면서 상승했다. 미국 국채 10년물은 전일비 13bp 내린 4.20%를 기록하며 지난 9월 초 이후 가장 낮은 수준까지 내려왔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이날 0.37% 상승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파월 의장은 금리인상 종료를 결론 짓기에는 시기상조이며 금리 인하 시기를 추정하는 것도 이르다고 언급했다”며 “하지만 시장은 파월 의장이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 등 인플레이션 둔화세를 반기는 입장을 표명한 점을 완화 기조로 받아들였다”고 말했다.증권가에선 국내 반도체 대형주를 둘러싼 내년 메모리 업황을 주목하고 있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이날 “국내 주요 반도체 업체들의 내년 수요 전망은 비교적 보수적인 것으로 파악된다”며 “메모리 반도체의 업황은 수요와 공급, 재고의 함수인데, 결국 재고가 다소 줄기는 했지만, 여전히 부담스러운 수준이고, 수요 기대감은 높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여기에 전대미문의 적자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메모리 업체들이 공격적으로 가동률을 높일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며 “여전히 내년 메모리 업황의 키워드는 수요보다는 공급 측면에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2023.12.04 I 이은정 기자
한동훈 테마주 열풍…대상홀딩스우 하루 매매 정지에 대상우 '上'
  • 한동훈 테마주 열풍…대상홀딩스우 하루 매매 정지에 대상우 '上'[특징주]
  •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대상 우선주가 강세다. ‘한동훈 테마주’로 상한가를 달린 대상홀딩스 우선주와 덕성 우선주가 4일 하루 매매 거래가 정지되면서 대상 우선주로 매수세가 몰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배우 이정재와 한동훈 법무부 장관(사진 오른쪽)이 서초구 한 식당 앞에서 찍힌 것으로 보이는 사진. (사진=온라인 커뮤니티)이날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7분 현재 대상우(001685)는 전 거래일보다 29.75% 급등한 2만1850원에 거래되고 있다. 대상(001680)은 3.87% 오른 2만650원에 거래되고 있다. 대상홀딩스 우선주가 이날 매매거래가 정지되면서 대상 우선주로 자금이 몰리고 있는 영향으로 해석된다.한국거래소는 지난 1일 대상홀딩스우에 대한 4일 하루 매매거래를 정지했다. 앞서 투자경고 종목 지정 이후 주가가 2일 이상 40% 이상 급등한 데 따른 조치다. 대상홀딩스우는 지난 1일 6550원(29.98%) 상승한 2만8400원에 거래를 마치며 상한가를 기록했다. 지난달 27일부터 5번 연속 상한가를 기록하면서 무려 270.3% 폭등했다. 덕성우(004835) 역시 같은 날 매매거래가 정지된다. 앞서 덕성우는 지난달 22일부터 28일까지 5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한 뒤 지난달 29일 1거래일간 매매거래가 정지된 바 있다.이들 종목은 모두 한동훈 장관 테마주로 분류되는 기업들의 우선주들이다. 한 장관과 학연이나 지연 등으로 엮였다는 이유로 급등세를 탔다.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는 대신 배당을 우선적으로 많이 해주는 주식인데, 일반적으로 보통주보다 할인된 가격에 거래된다. 한동훈 테마에 올라탄 우선주들은 보통주 가격을 이미 추월했다.
2023.12.04 I 양지윤 기자

더보기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