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한국무역협회가 주최하고 국제통상학회, 무역구제학회, 국제경제법학회가 공동 주관한 ‘신정부 통상정책 심포지엄’에서 국내 통상전문가들은 새로운 복합통상체계에 대응할 최적의 조직 운용이 필요하다며 이 같이 강조했다.
|
이날 발제를 맡은 서정민 숭실대 국제무역학과 교수는 “탈세계화 추세가 심화함에 따라 새로운 상황에 맞는 통상정책 비전과 전략이 재구성돼야 한다”며 △글로벌 가치사슬(GVC) 재편 △통상의 디지털화 △통상의 가치 중심화를 정책과제로 제시했다.
허윤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우리나라의 주요 경쟁국들이 통상정책을 ‘글로벌 산업정책’의 중요한 한 축으로 인식하면서 이를 기술과 자원 및 환경과 연계해 국익을 극대화하려는 경향이 매우 강해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통상정책을 두고 외교와 안보의 수단적 측면만 강조하다 보면 ‘국부창출의 기반’이라는 통상정책의 또 다른 산업적 측면을 놓치게 되는 우(愚)를 범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이끄는 차기 정부에서 산업, 안보, 기술, 에너지 등 복합적 통상체계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조직을 운영할 것을 강조했다. △가치지향적 통상정책 △태평양 중시 통상정책 △글로벌 핵심 중견국가(G10) 달성을 위한 포괄적 대외경제 비전 마련 등을 주문했다.
신승관 무역협회 전무는 “코로나19와 미중 패권경쟁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사태로 통상 문제가 국가안보 문제와 직결되고 있다”면서 “5월 출범할 새 정부는 우리 기업의 경영 리스크를 줄이고 국익을 극대화하는 통상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