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레그 모리스 그린에너지연구소 박사는 21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LA 대기오염이 사회 문제가 될 정도로 심각했다”며 “캘리포니아가 석탄화력을 줄이고 신재생을 늘리게 된 이유 중 하나는 심각한 대기오염 때문”이라고 말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지하 터널을 제안할 정도로 LA는 교통 체증, 차량 대기 오염으로 악명이 높다.
캘리포니아는 꾸준히 탈석탄을 통한 대기오염 방지 대책을 추진했다. 캘리포니아 에너지 규제위원회(CEC)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의 석탄화력은 0.15%(302GWh·2017년)에 불과하다. 신재생은 29.65%(6만1183GWh)를 차지했다. 과거 LA 못지 않게 대기오염이 심각한 우리나라는 석탄화력 비중은 43.14%(23만8799GWh·2017년)에 달한 반면 신재생은 5.04%(2만7874GWh)에 불과하다.
발전소 현황이 이렇게 다른 건 에너지 정책 영향 때문이다.
캘리포니아는 강력한 쿼터제(재생에너지 의무 공급비율·RPS) 목표를 정했다. 캘리포니아 시장점유율 1위 전력회사인 PG&E 산다 번스 수석은 “RPS 제도에 따라 2020년까지 전력 공급의 33%를 신재생에서 조달해야 한다”고 전했다. 한국도 RPS 제도가 있지만 캘리포니아보다 목표치가 낮다. 한국은 2030년까지 신재생 비율을 20%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
컨설팅 업체인 베이츠화이트의 양성훈 수석 컨설턴트는 “미국에서는 태양광과 ESS(에너지저장장치)를 결합한 신재생에너지 사업 모델이 등장하기 시작했다”며 “태양광·풍력의 발전량이 날씨에 따라 들쑥날쑥 했는데 ESS를 통해 에너지를 미리 저장해 놓고 쓸 수 있게 됐다. 태양광·풍력이 가장 많이 일자리를 늘리고 있다”고 말했다.
미 에너지부(2016년 기준)에 따르면 태양광 업계 고용 인원은 37만3807명으로 화석연료 고용 인원(18만7117명)의 2배나 됐다.
주정부는 에너지산업 육성을 위해 전력시장을 개편해 특정 업체가 시장을 장악하지 못하도록 했다.
실리콘밸리에 진출한 김구환 그리드위즈 겸 크로커스에너지 대표는 “에너지 신산업을 키우려면 캘리포니아처럼 독점이 해소돼야 한다”며 “한국에서도 한전이 독점한 배전망을 공유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캘리포니아주는 신재생 에너지 산업 육성을 통해 쌓은 기술력을 토대로 에너지 분야 수출에 나섰다.
국무조정실 에너지·신소재 분과위원장인 김희집 서울대 객원교수는 “캘리포니아 사례를 보면 태양광, ESS, 소형 스마트원자로 등 미래형 전력 솔루션에 따라 신재생의 전기요금 부담이 지속적으로 감소했다”며 “앞으로 태양광, ESS 수출에도 집중적으로 나서자”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