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반적인 통상정책 방향에 있어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보호무역 위주의 정책을 내세우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동맹국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민주당의 정책 방향과 동맹국 및 국제기구와의 관계보다는 무역규제와 대중국 강공을 내세우는 공화당의 정책 방향과도 일맥상통한다.
대표적으로 보호무역 강화의 일환으로 대미 수출 농식품에 관세가 부과·인상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대미 수출 농식품이 우리 농식품의 미국내 가격경쟁력이 떨어져 농식품 수출 둔화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우리 농식품의 대미 수출 통관도 더 까다로워질 가능성도 높다. 미국은 우리 농식품 수출에 있어서 통관 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국가다. 지난해 발생한 통관 문제 469건 중 약 30%인 140건이 대미 수출 과정에서 발생했다. 주요 항목은 라벨링·포장(51건)이 가장 많았고 △성분 부적합(46건) △서류 미비(21건) △위생(13건) △잔류농약 검출(4건) 등이었다.
그러면서 “미국은 우리나라의 최대 농식품 수출 시장으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며 “농식품 수출 시장 다변화를 통해 미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유럽 및 동남아시아 등에서 수출운동장을 확대하는 전략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민주당 해리스 후보가 당선하면 농업통상분야에 환경·노동 문제의 중요성이 커질 수 있다. 2026년부터 도입 예정인 탄소국경조정제도와 비슷한 형태가 농업 부문에 도입되면, 미국으로 수출되는 농식품 중 탄소 배출량이 높은 딸기, 토마토, 오이 등 시설 채소와 가공식품을 중심으로 저탄소 농식품 생산을 위한 기술개발 및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